경북 북부 지역을 뒤덮은 산불의 주불은 어제 잡혔지만, 피해는 셀 수 없을 정도입니다. <br /> <br />전소된 천년고찰 '고운사'에는 안타까운 마음을 달래려 찾아오는 사람들이 줄을 이었습니다. <br /> <br />취재기자 연결합니다. 이윤재 기자! <br /> <br />[기자] <br />경북 의성 고운사에 나와 있습니다. <br /> <br /> <br />고운사 상황, 지금은 어떤가요? <br /> <br />[기자] <br />제 뒤로 보이는 곳, 원래는 고운사의 '가운루'가 있던 곳입니다. <br /> <br />1700년대에 만들어진 누각인데, 계곡 위에 세운 대형 누각으로 보는 이들마다 찬사를 보내던 곳입니다. <br /> <br />그런데 지금은 제 뒤로 보이는 것처럼 완전히 주저앉아서 형태조차 알 수 없는 모습입니다. <br /> <br />자세히 한 번 들여다보겠습니다. <br /> <br />깨진 기왓장은 바닥에 아무렇게 나뒹굴고 있고, 그 위로 아직도 불이 다 꺼지지 않은 듯 연기도 계속해서 피어오르고 있습니다. <br /> <br />위쪽으로 화면을 조금 돌려보면 무너진 누각이 있던 곳곳에서 연기가 피어오르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br /> <br />뒤로는 잔불 확산 우려에 대비해서 소방차가 지키고 있는 모습도 보입니다. <br /> <br />이곳 고운사는 신라시대 의상대사가 창건한 거로 알려졌습니다. <br /> <br />가운루와 연수전 등 당시 지어졌던 주요 목조건물들은 모두 불타 사라졌습니다. <br /> <br />현대식 건물로 지은 대웅전과 명부전 등만 가까스로 온전한 모습을 유지하고 있는 모습입니다. <br /> <br />고운사로 올라오는 길에는 수십 년 수백 년 된 거로 추정되는 고목 나무도 모두 불타 쓰러져 있었습니다. <br /> <br />주말을 맞아 안타까운 마음에 고운사를 찾는 발걸음도 줄을 이었는데요. <br /> <br />하나같이 가슴이 아프다는 반응이었습니다. <br /> <br />엿새 동안 이어진 경북 북부 지역 산불에 이렇게 소중한 문화유산도 완전히 불타 사라져 버린 겁니다. <br /> <br />고운사를 집어삼킨 산불은 어제 주불이 잡혔지만 잔불 진화는 여전히 진행되고 있습니다. <br /> <br />경상북도와 산림 당국은 오늘 하루 헬기 30대를 잔불 정리에 투입하겠다고 밝혔는데요. <br /> <br />산림청과 지자체는 언제든 강한 바람을 타고 재발화가 이뤄질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잔불 정리 총력을 기울인다는 방침입니다. <br /> <br />지금까지 경북 의성에서 YTN 이윤재입니다. <br /> <br /> <br />촬영기자: 전대웅 <br /> <br /> <br /><br /><br />YTN 이윤재 (lyj1025@ytn.co.kr)<br /><b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br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br />[전화] 02-398-8585 <br />[메일] social@ytn.co.kr<br /><br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15_202503291615387271<br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br /><br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br /><br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