터전 잃은 주민들 다소 무거운 분위기 속 아침 맞아 <br />뉴스 보면서 산불 재발화하진 않을지 걱정하는 모습 <br />이른 아침부터 이재민 돕기 위한 자원봉사자 손길<br /><br /> <br />꺼졌던 산불이 되살아났던 경북 안동은 고속도로가 통제되기도 하면서 한때 긴장도가 높아졌습니다. <br /> <br />이번 산불로 갈 곳을 잃은 이재민들은 대피소에 머물고 있는데요. <br /> <br />이재민들이 머무는 곳에 취재 기자 나가 있습니다. 김기수 기자! <br /> <br />[기자] <br />네, 경북 안동체육관에 나와 있습니다. <br /> <br /> <br />김 기자, 이재민들이 머무는 대피소 상황 전해주시죠. <br /> <br />[기자] <br />네, 제가 있는 이곳 안동체육관에는 시민 370여 명이 머물고 있습니다. <br /> <br />개별로 마련된 텐트 안에서 지내고 있는 모습인데요. <br /> <br />제가 나흘 전, 산불 발생 초기에도 이곳에 왔었는데, 그때보단 통신 지원 장비와 의료 지원도 눈에 띄게 늘어난 상황입니다. <br /> <br />예상치 못한 화마에 터전을 잃은 주민들은 다소 무거운 아침을 맞이하고 있습니다. <br /> <br />어제(29일) 새벽 꺼졌던 산불이 되살아나면서 이곳의 긴장감도 일시적으로 높아지기도 했는데요. <br /> <br />지금은 차분한 분위기 속에 전광판이나 스마트폰으로 뉴스를 보면서 혹여나 산불이 재발화하진 않을지 걱정하는 모습도 볼 수 있었습니다. <br /> <br />이곳 대피소에는 이재민들을 돕기 위한 자원봉사자의 손길도 이른 아침부터 이어지고 있고, 각종 구호 물품도 곳곳에 쌓여 있는데요. <br /> <br />한순간에 지금까지 쌓아온 재산을 모두 잃은 이재민들에겐 조금이나마 위로가 되고 있습니다. <br /> <br /> <br />경북 안동지역 피해 상황은 어떻게 됩니까? <br /> <br />[기자] <br />네, 안동지역 산불로 피해 면적만 9천8백여 ㏊입니다. <br /> <br />경북 의성에 이어 두 번째 넓은 피해 규모고, 산불로 인한 사망자 가운데 4명이 안동에서 발생했습니다. <br /> <br />산불이 마을로 옮겨붙으면서 발생한 주택 파손도 천여 채로, 해안가까지 확산한 영덕에 이어 두 번째 규모입니다. <br /> <br />지금은 대부분 복구가 됐지만, 산불이 번진 곳곳에서 통신과 전기가 모두 끊어지는 피해가 발생하기도 했습니다. <br /> <br />또 산불이 확산할 당시 세계문화유산인 안동 하회마을과 병산서원까지 위협하기도 했습니다. <br /> <br />산불이 발생한 대부분 지역엔 건조주의보가 계속 내려져 있고 바람도 종일 강하게 불 것으로 보입니다. <br /> <br />주불은 잡혔지만, 잔불 정리 작업은 계속되고 있습니다. <br /> <br />특히, 초속 15m에서 20m의 강한 바람이 예보... (중략)<br /><br />YTN 김기수 (energywater@ytn.co.kr)<br /><br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15_202503301001413212<br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br /><br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br /><br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