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곳곳에서 사회적 갈등이 확산하고 있습니다. <br /> <br />특히 트럼프 정부 출범 이후 국제 정세 불안이 이런 상황을 더욱 부채질하고 있다는 분석입니다. <br /> <br />김선중 기자의 보도입니다. <br /> <br />[기사] <br />튀르키예 이스탄불 시청 앞에서 시위대와 경찰이 충돌합니다. <br /> <br />거리를 가득 메운 시위대에 맞서 경찰은 최루탄과 물대포를 동원해 진압 작전을 벌였습니다. <br /> <br />야권 유력 대권주자인 이마모을루 이스탄불 시장이 경찰에 끌려간 지난 19일부터 튀르키예 주요 대도시에서 에르도안 대통령을 규탄하는 항의 시위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br /> <br />[오즈구르 오젤 / 튀르키예 공화인민당 대표 : 시간이 지나면 우리가 잊을 것이라고 생각하겠지만, 이제 시작에 불과합니다. 우리는 계속 싸울 것입니다.] <br /> <br />세르비아 수도 베오그라드에도 수천 명의 시민이 모였습니다. <br /> <br />시민들은 정부가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사위인 재러드 쿠슈너의 사업에 특혜를 준다며 비난했는데, 정부 규탄 시위는 다섯 달째 계속되고 있습니다. <br /> <br />[밀란 바실예비치 / 세르비아 대학생 : 그들이 지금 우리나라에서 무슨 짓을 하려는지 압니다. 우리는 반대합니다.] <br /> <br />밖으로는 하마스와 전쟁을 이어가고 있는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는 안에서는 시위대의 비판에 직면했습니다. <br /> <br />네타냐후 총리가 자신의 비리 의혹을 감추기 위해 전쟁을 확대하고 있다는 겁니다. <br /> <br />[우리 애쉬 / 예루살렘 주민 : 네타냐후는 장기 집권하고 있는 헝가리 오르반 총리나 러시아 푸틴 대통령과 똑같은 짓을 하고 있습니다.] <br /> <br />올해 들어 이처럼 수천 명 이상이 모인 대규모 반정부 시위가 열린 나라는 10여 개에 달합니다. <br /> <br />나라마다 사정이 조금씩 다르긴 하지만, 코로나 19 팬데믹 기간 잠재됐던 사회 불만이 폭발한 데다, 때마침 정치적인 리더십도 흔들리면서 크게 번지고 있습니다. <br /> <br />특히 트럼프 미국 대통령 취임 이후 불안한 국제 정세와 맞물리면서 이런 상황을 더욱 부채질하고 있습니다. <br /> <br />또 온라인에 머물던 급진적인 세력이 제도권 정치 영역으로 올라서면서, 갈등에 기름을 붓고 있다는 지적입니다. <br /> <br />YTN 김선중입니다. <br /> <br /> <br />영상편집 : 임현철 <br /> <br /> <br /> <br /><br /><br />YTN 김선중 (kimsj@ytn.co.kr)<br /><b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br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br />[전화] 02-398-8585 <br />[메일] social@ytn.co.kr<br /><br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4_202503311922286766<br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br /><br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br /><br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