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광역급행철도, GTX-A 노선이 개통 1년 만에 누적 이용객 7백70만 명을 넘었습니다. <br /> <br />특히 운정중앙~서울역 구간 수요가 급증했는데 핵심 정차역인 삼성역 개통 시기가 관건입니다. <br /> <br />최두희 기자가 다녀왔습니다. <br /> <br />[기자] <br />지난해 3월 수서~동탄역 구간을 개통하며 운행을 시작한 GTX-A 노선. <br /> <br />이어 지난해 12월엔 운정중앙~서울역 구간을 2차 개통했습니다. <br /> <br />이동 시간은 확 줄었습니다. <br /> <br />[김현진 / GTX-A 이용객 : (자차를 이용해서) 기름값도 많이 들고 유지비가 많이 들었는데 GTX가 생기고 출퇴근하면서 건강도 좋아지고 시간도 많이 단축되고 (서울 서초동에서 파주까지) 1시간 50분 걸렸다면 지하철 타고 1시간 15분으로 (줄었습니다.)] <br /> <br />[최규형 / GTX-A 이용객 : 의정부에서 킨텍스까지 2시간가량 걸렸는데 GTX 개통하고 나서 1시간으로 단축돼서 편하게 잘 다니고 있습니다.] <br /> <br />지난 1년을 살펴보니 평일에는 출퇴근 시간대 수요가 전체의 41%를 넘었습니다. <br /> <br />지난 1년간 일 평균 이용객이 가장 많았던 역은 제가 나와 있는 서울역으로 전체의 31.4%를 차지했는데 서울 도심과 파주, 고양시 간 이동 수요가 큰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br /> <br />누적 이용객은 개통 1년 만에 770만 명을 훌쩍 넘었습니다. <br /> <br />수서~동탄 구간이 약 410만 명, 운정중앙~서울역 구간이 약 360만 명으로, 하루 평균 이용객은 운정중앙~서울역 구간이 수서~동탄 구간의 4배에 가까웠습니다. <br /> <br />운정중앙~서울역 이용객은 개통 석 달 만에 빠른 상승세를 보이며 예측 대비 90%를 웃돈 반면 이보다 먼저 개통한 수서~동탄 구간은 75% 수준에 머물렀습니다. <br /> <br />그간 경기 북부에서 서울 도심까지 이동하는 교통수단이 상대적으로 부족했기 때문으로 보입니다. <br /> <br />관건은 핵심 정차역인 삼성역의 개통 시기입니다. <br /> <br />[김진유 / 경기대 도시교통공학과 교수 : 동서로 연결되는 다른 전철이나 도로와 연계가 확실히 이뤄질 수 있기 때문에 삼성역이 빨리 개통돼야 하는데 (연기가 되는 건) 전체적인 GTX의 기능에 한계가 있다…] <br /> <br />개통이 늦어지면 손실액을 물어줘야 하는데 국토부는 민간사업자에 개통 지연으로 인한 손실보전금 1백45억 원을 지급한 상황입니다. <br /> <br />국토부는 삼성역의 경우 내년에 무정차 통과, 오는 2028년까지 완전 개통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br /> <br />YTN 최두희입니다. <br /> <br /> <br />촬영기자 : 권석재 <br />디자인 : 이나은 <br />... (중략)<br /><br />YTN 최두희 (dh0226@ytn.co.kr)<br /><br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2_202504012100593883<br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br /><br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br /><br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