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rprise Me!

가격 동결·공장 물색…‘관세 폭탄’ 돌파구 찾아라

2025-04-06 0 Dailymotion

<p></p><br /><br />[앵커]<br>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폭탄에 우리나라 주요 기업들도 돌파구 찾기에 여념이 없습니다.<br> <br>현대차는 출혈을 감수하고라도 미국 점유율을 끌어올리겠다며 가격 동결을 시사했습니다.<br> <br>삼성전자는 관세율이 비교적 낮은 국가의 공장을 대미 생산기지로 재조정하는 방안을 검토 중입니다.<br> <br>임종민 기자가 보도합니다. <br><br>[기자]<br>우리시각으로 지난 3일 오후 1시부터 미국으로 수출하는 자동차에 25%의 관세가 부과됐습니다. <br> <br>일부 글로벌 완성차 업체들이 미국 내 가격 인상을 검토하고 있는 가운데, 현대차는 오는 6월 2일까지 두 달간 가격 인상은 없다고 못 박았습니다. <br> <br>[호세 무뇨스/현대차 사장(지난 3일)] <br>"지금 시점에서 미국에서의 가격 인상 계획은 없습니다." <br><br>송호성 기아 사장 역시 가격 인상과 관련해선 명확히 선을 그었습니다. <br> <br>주요 글로벌 경쟁사들 모두 동일한 관세가 부과된 만큼 가격 동결로 미국 내 점유율을 지켜가겠단 의지로 풀이됩니다. <br> <br>앞서 현대차그룹은 31조 원 규모의 투자 계획을 발표하기도 했습니다. <br> <br>미국에서만 1년에 120만 대까지 생산을 확대해 관세를 피해가겠단 전략입니다. <br> <br>미국 내에 스마트폰 공장이 없는 삼성전자의 셈법은 더 복잡해졌습니다. <br> <br>스마트폰의 절반을 베트남에서 생산하는데 관세가 46%로 높게 매겨졌기 때문입니다. <br><br>이에 상대적으로 관세 부담이 덜한 인도나 브라질, 국내 공장을 대미 수출 기지로 활용하는 방식이 거론됩니다.<br><br>현재 베트남 정부는 미국에 대한 관세를 0%까지 낮출 수 있다며 협상을 제안한 가운데 트럼프도 SNS에 "가까운 미래 회담을 기대한다"고 긍정적인 답변을 내놨습니다.<br> <br>이에 삼성전자는 베트남과 미국의 협상 결과를 지켜보겠단 계획입니다. <br> <br>하지만 관세가 끝내 조정되지 않는다면 생산라인 변화는 불가피해 보입니다. <br> <br>채널A 뉴스 임종민입니다. <br> <br>영상편집 : 조아라<br /><br /><br />임종민 기자 forest13@ichannela.com

Buy Now on CodeCany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