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락 하루 만에 합동감식…비행기록장치 못 찾아 <br />44년 된 노후 기종…보조기록장치만 장착돼 <br />"동시다발 산불 속 정비 시간 부족 가능성" <br />올해만 진화헬기 두 대 추락…"대책 마련 필요"<br /><br /> <br />대구 산불 헬기 추락 사고의 원인을 밝히기 위한 합동감식이 시작됐습니다. <br /> <br />40년 넘은 노후 기체가 문제라는 지적이 잇따르는 가운데, 무리한 헬기 투입이 원인이라는 목소리도 나옵니다. <br /> <br />김근우 기자가 보도합니다. <br /> <br />[기자] <br />대구 서변동에서 산불을 끄던 헬기가 추락한 지 하루 만에 합동감식이 시작됐습니다. <br /> <br />하지만 원인 규명의 열쇠가 될 비행기록장치를 찾지 못했습니다. <br /> <br />조사단은 추락 헬기의 속도와 고도 등 비행기록을 알 수 있는 기록장치가 사고 이후 일어난 폭발에 불타 사라진 것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br /> <br />추락 헬기는 44년 된 노후 기종이라 높은 온도에도 견디는 블랙박스가 아니라 보조기록장치만 달린 게 문제입니다. <br /> <br />[문성만 / 국토교통부 사고조사단장 : 법적으로 대체 장비로 승인된 부분이어서, 비전 1000이라고 하는 장비인데, 저희가 지금 SD카드를 찾고 있는데 찾아지기를 희망하고 있고요.] <br /> <br />앞서 지난달 26일 의성에서도 생산된 지 30년 된 산불 진화헬기가 추락하면서 낡은 기체가 문제라는 지적이 잇따라 제기됐습니다. <br /> <br />하지만 전문가들은 법적으로 주기적인 점검이 이뤄지는 만큼 기체 노후보다는 정비에 문제가 생겼을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 있습니다. <br /> <br />동시다발 산불로 헬기 운용 시간이 한꺼번에 늘어나면서 정비할 시간이 충분치 않다는 겁니다. <br /> <br />매년 지자체와 계약을 맺어야 하는 항공사 입장에서 산불 현장에 헬기를 무리하게 투입할 수밖에 없다는 지적도 나옵니다. <br /> <br />[전직 산불 진화헬기 기장 : 정비사들도 최선을 다하고 있지만, 그런 면에서 지자체와의 관계라든지 회사의 관계 등 복합적으로 생각하면 (소방 등) 기관 헬기보다는 조금 취약한 점이 있다….] <br /> <br />결국, 정확한 원인은 1년 넘게 걸릴 조사 결과가 나와야 알 수 있을 전망입니다. <br /> <br />올해만 산불 진화헬기 두 대가 잇따라 추락한 가운데, 더 정확한 원인 조사를 통한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옵니다. <br /> <br />YTN 김근우입니다. <br /> <br />촬영기자: 전기호 <br /> <br /> <br /><br /><br />YTN 김근우 (gnukim0526@ytn.co.kr)<br /><b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br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br />[전화] 02-398-8585 <br />[메일] social@ytn.co.kr<br /><br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15_202504072307173467<br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br /><br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br /><br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