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p><br /><br />[앵커]<br>윤석열 전 대통령, 파면 열흘 만에 형사 재판에 출석했습니다. <br> <br>앞으로 일주일에 한 두 번씩 법원에 나가야 하는데요. <br> <br>재판이 열리고 있는 서울중앙지법 연결해보겠습니다. <br> <br>[질문1] 송정현 기자, 윤석열 전 대통령 오늘 재판에서 직접 발언을 했다고요? <br><br>[기자]<br>네, 윤석열 전 대통령은 오늘 오전 직접 발언기회를 얻어 혐의를 전면 부인했습니다. <br> <br>내란죄가 성립할 수 없다면서, 검찰이 비상계엄 관여자들로부터 무리한 진술을 받아냈다고 주장했습니다.<br> <br>윤 전 대통령은 검찰 공소사실 낭독 직후, "비폭력적으로 국회의 계엄 해제 요구를 즉각 수용했다"며 "이것을 내란으로 구성하는 자체가 법리에 맞지 않다"고 말했습니다. <br> <br>검찰 수사 기록에 대해서도 "초기 내란몰이 과정에서 겁을 먹은 사람들이 수사기관의 유도에 따라 진술한 내용이 검증없이 반영됐다"고 주장했습니다. <br> <br>윤 전 대통령은 오늘 오전 이곳에서 500m 떨어진 사저에서 경호인력과 함께 카니발 차량을 타고 법원에 출석했습니다. <br> <br>포토라인에 따로 서진 않았고, 경호처 요청대로 차량을 탄 채로 지하주차장을 통해 법원으로 들어갔습니다. <br><br>재판장이 '직업은 전직 대통령'이라고 언급하며 주소를 묻자, 대답을 하기도 했습니다. <br> <br>국민참여재판은 거부 의사를 밝혔습니다. <br><br> [질문2] 오늘 오후까지 재판이 이어진다고요?<br><br>검찰은 윤 전 대통령이 군과 경찰을 동원해 국회를 봉쇄한 후 비상계엄 해제를 저지하려고 했다고 주장했습니다. <br> <br>오늘 증인으로는 조성현 수도방위사령부 경비단장과 김형기 특수전사령부 특전대대장이 채택됐습니다.<br> <br>오후엔 '의원들을 끌어내라'는 지시가 있었는지를 놓고 법정 공방이 이어질 전망입니다. <br> <br>윤 전 대통령은 앞으로 주1회 이상은 재판에 출석할 것으로 보입니다. <br> <br>앞으로 증인 다수를 불러 신문해야 하고, 기록도 4만 페이지에 달하는 만큼 재판은 장기화될 전망입니다. <br> <br>지금까지 서울중앙지법에서 전해드렸습니다. <br> <br>영상취재: 이기상 <br>영상편집: 정다은<br /><br /><br />송정현 기자 ssong@ichannel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