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말부터 전국에 강한 돌풍을 동반한 비와 눈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br /> <br />서울에는 118년 만에 가장 늦은 눈이 내리는 등 계절이 마치 다시 겨울로 돌아간 듯한 풍경이 펼쳐졌는데요. <br /> <br />요란스러운 봄 날씨의 원인과 전망을 취재기자와 함께 자세히 짚어보겠습니다. <br /> <br />김민경 YTN 기상·재난 전문기자 스튜디오에 나와 있습니다. <br /> <br />벚꽃이 절정이던 지난주와 달리 주말부터는 날씨가 급변했습니다. <br /> <br />가장 이례적이었던 '눈'부터 짚어볼까요? <br /> <br />[기자] <br />네, 토요일 밤부터 중부 곳곳에 눈이 날리기 시작하더니, 일요일에는 일부 지역에 제법 쌓였습니다. <br /> <br />서울에도 0.6cm의 눈이 쌓였는데요, 4월에 내린 눈으로는 역대 두 번째로 많은 기록입니다. <br /> <br />특히 서울의 이번 눈은 1907년에 기상 관측이 시작된 이후 118년 만에 가장 늦게 내린 눈인데요. <br /> <br />지난 2020년 4월 22일에 서울에 눈발이 날린 적은 있었지만, 쌓이지 않아서 공식적으로는 이번이 가장 늦은 봄눈으로 기록됐습니다. <br /> <br />서울뿐만 아니라 강원 산간에는 10cm가 넘는 눈이 왔고요. <br /> <br />경기와 충청 일부 지역에서도 1cm 안팎의 눈이 내려 쌓였습니다. <br /> <br /> <br />4월 중순에 눈이라니, 계절을 거스른 눈, 원인이 뭔가요? <br /> <br />[기자] <br />대기 상층에서 영하 20도 이하의 찬 공기를 동반한 저기압이 한반도로 내려왔기 때문입니다. <br /> <br />공기의 흐름은 상층과 지상 모두 고기압과 저기압이 고-저-고-저 형태로 번갈아 나타나면서 기차 칸처럼 흘러가는데요. <br /> <br />상층의 대기 흐름이 원활하지 않아서 양쪽에서 고기압이 벽처럼 막고 있다 보니 저기압이 이동하지 못하고 수제비 반죽 늘어지듯이 한반도 부근으로 내려온 건데요. <br /> <br />일기도 화면 보실까요? <br /> <br />대기 상층 5km 부근입니다. <br /> <br />한눈에 보이는 이 빨간색 공기덩어리가 저기압 소용돌이인데요. <br /> <br />12일 오후부터 우리나라에 다가와 지금까지도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br /> <br /> <br />눈뿐만 아니라 비도 요란했습니다. <br /> <br />강풍에 천둥, 번개, 우박까지 쏟아지던데 따뜻했던 날씨 때문이라는 말이 있더라고요? <br /> <br />[기자] <br />맞습니다. <br /> <br />이상 고온이 이런 요란한 날씨를 불렀다고 보시면 됩니다. <br /> <br />지난주 금요일 날씨 기억하시나요? <br /> <br />저도 금요일에 날씨가 좋아서 절정에 달한 벚꽃 취재를 다녀왔는데요. <br /> <br />그날 전국적으로 기온이 크게 오르면서 5월 중하순을 방불케 하는 25도 안팎까지 올랐고요, <br /> <br />심지어 서... (중략)<br /><br />YTN 김민경 (kimmink@ytn.co.kr)<br /><br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8_202504141509597205<br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br /><br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br /><br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