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경선 후보가 17일 수도 이전 이슈를 대선 공간으로 쏘아올렸다. 이 후보는 이날 페이스북에 “세종을 명실상부한 행정수도로, 대전은 세계적인 과학 수도로 만들겠다”며 “국회 본원과 대통령 집무실의 세종시 완전 이전도 사회적 합의를 거쳐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br /> <br /> 그러면서 “국회 세종의사당과 대통령 세종 집무실을 임기 내 건립하고, 2019년 중단된 공공기관 이전도 조속히 재개하겠다”고도 약속했다. 16~19일 진행중인 대전·충청 지역 경선을 겨냥한 공약 발표다. <br /> <br /> 이 후보의 ‘세종 행정수도’ 구상은 대전(AI·우주산업)-세종(스마트행정)-충북(바이오·반도체·이차전지)-충남(디스플레이)을 잇는 첨단산업벨트를 구축하겠다는 과학 수도 공약과 맞물려 있다. <br /> <br /> ‘대통령실 용산 이전’이 12·3 비상계엄 사태의 원인 중 하나로 지목되면서, 정치권에선 차기 대통령이 대통령실을 어디에 둘 것인지가 관심사였다. 이날 이 후보의 공약은 이 문제와 관련해서도 사실상 ‘용산 대통령실 일시 이용→청와대 복귀→세종 집무실 건설→대통령실 세종 완전 이전’이라는 로드맵을 드러낸 것이다. 박수현 캠프 공보단장은 “국회와 대통령실을 세종으로 이전한 뒤 여의도와 용산 등을 금융 허브 등으로 개발하면 서울·충청 동시 발전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br /> <br /> 대통령실과 국회 완전 이전은 개헌 성사돼야 가능한 일이다. 2004년 헌법재판소는 ‘관습헌법상 수도는 서울’이라는 이유로 노무현 정부의 신행정수도법을 위헌이라고 판단했다. 대통령실과 국회가 서울에 있다는 것은 관습헌법상 수도가 서울이라고 본 핵심 이유였다. 나경원 국민의힘 후보는 이날 “세종 이전에 대해 열려 있으나, 집무실을 옮기는 건 명백한 헌법 개정 사안이어서 그런 절차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와 관련해 강훈식 본부장은 “국회 본...<br /><br />기사 원문 :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29371?cloc=dailymotion</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