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p><br /><br />[앵커]<br>우리 경제부총리와 산자부 장관이 한미 간 첫 고위급 통상 협의를 위해 미국으로 갔죠. <br> <br>잠시 뒤 협의가 시작됩니다. <br> <br>우리로선 안보를 무역과 묶지 않고 25% 상호 관세율과 자동차 관세를 해결하는 게 목표인데, 지금 분위기 어떤지 워싱턴 DC 연결해서 알아보겠습니다. <br> <br>최주현 특파원, 협의는 어떻게 진행됩니까? <br><br>[기자]<br>네, 한미 통상 협의는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이후 처음 열리는 겁니다. <br> <br>지금 현지 시각이 오전 6시 반을 향해 가는데, 약 1시간 반 뒤인 8시에 제가 나와 있는 미국 재무부에서 협상이 시작됩니다.<br> <br>우리 측에서는 최상목 경제부총리와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미국 측에서는 스콧 베선트 재무장관과 제이미슨 그리어 무역대표부 대표 등 각각 2명씩 총 4명이 나와 1시간 정도 협상을 합니다.<br> <br>우리 측은 25% 상호관세의 완전 철폐와 대미 교역에서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하는 자동차 관세 해결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br> <br>[안덕근 /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br>"상호 관세 부과된 것을 철폐하는 것이 목적이고 자동차 같은 경우 가급적이면 신속하게 이 문제는 저희가 풀 수 있도록 협의해나갈 계획입니다." <br> <br>하지만 현지시각 어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5% 자동차 관세율에 대해 "당장은 아니지만 높아질 수 있다"며 추가 인상 가능성을 언급한 것이 변수입니다. <br> <br>또 우리 정부는 방위비 분담금 같은 안보 이슈는 경제, 무역과 별개라는 입장인데 '원스톱 쇼핑'을 강조하는 미국이 방위비를 언급할 수도 있습니다. <br> <br>[스콧 베선트 / 미 재무장관] <br>"미국이 안보를 계속 제공하면 동맹국들은 공동 방어에 대한 더 강한 헌신을 해야 합니다." <br> <br>지난주 미일 협상 때처럼 트럼프가 깜짝 등장할 지도 관심입니다. <br> <br>다만 협상이 열리는 시간에 트럼프는 노르웨이 총리와 회담이 예정돼 있어 실제 등장 여부는 끝까지 지켜봐야 합니다. <br> <br>지금까지 워싱턴에서 채널A 뉴스 최주현입니다. <br> <br>영상취재 : 정명환(VJ) <br>영상편집 : 허민영<br /><br /><br />최주현 기자 choigo@ichannel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