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교안, 2017년 대선 불출마…국정농단 책임론 부담 <br />고건, 한때 지지율 30% 이상…"기성 정치권 벽" <br />이회창도 번번이 고배…"DJP 연합·기득권 이미지"<br /><br /> <br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의 출마설을 계기로 역대 정부 총리들의 '대권 도전기'가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br /> <br />지금까지의 역사는 '수난기'로 불릴 정도로 결과가 좋지 않았습니다. <br /> <br />김다연 기자가 보도합니다. <br /> <br />[기자] <br />지난 2017년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당시 범보수 유력 대선 주자로 꼽혔던 황교안 당시 총리는 고심 끝에 불출마를 선언했습니다. <br /> <br />국정 운영에 최선을 다하겠다는 이유였지만, 국정농단을 막지 못했단 '책임론'도 한몫했습니다. <br /> <br />[황교안 / 전 국무총리 (2017년 3월) : 국정 안정과 공정한 대선관리를 위해 제가 대선에 출마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고 판단했습니다.] <br /> <br />그보다 앞서선 김영삼 정부 마지막과 노무현 정부 처음을 함께한 고건 전 총리가 있습니다. <br /> <br />17대 대선 당시, 한때 지지율 30%를 넘기기도 했지만, 당에 지분도 없고 의원도 아닌 고 전 총리에게 기성 정치권의 벽은 높았습니다. <br /> <br />[김덕봉 / 당시 총리 공보수석 (2007년 1월) : 이것이 국민의 선택을 올바르게, 바르게 하는 길이 아닌가. 그렇게 본인이 생각하신 게 아닌가 이해를 합니다.] <br /> <br />세 차례나 완주는 했지만, 번번이 쓴맛을 본 이회창 전 총리도 빼놓을 수 없습니다. <br /> <br />대법관과 감사원장, 국무총리 등 이른바 '엘리트 코스'를 거쳤지만, 대통령 타이틀만큼은 손에 닿지 않았습니다. <br /> <br />1997년 대선 땐 김대중·김종필의 DJP 연합이, 2002년에는 '기득 세력'이라는 이미지가 발목을 잡았다는 평가입니다. <br /> <br />[이회창 / 전 국무총리 (2002년 1월) : 국가 대혁신으로 정권 교체를 이루고 새로운 나라다운 나라를 만들기 위해 대통합과 화해로 간다….] <br /> <br />자연스레 시선은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으로 쏠리는데 당내에서는 과거 총리들의 실패 사례와 다르다는 기대감도 엿보입니다. <br /> <br />[서지영 / 국민의힘 원내대변인 (25일, YTN '뉴스나우') : 민주당에서 많이 띄우고 있지 않습니까? 탄핵까지 시키고 다시 복귀하시고. 여러 가지 극적인 상황이 한덕수 대행을 주목하게 하는 게 아닌가 생각하고 있습니다.] <br /> <br />아직 출마 선언조차 하지 않은 한덕수 대행이지만, 대망론 앞에 불출마를 택할지, 반전 극을 써낼지는 대선 관전 포인트입니다. <br /> <br />다만, '국정 2인자'인 총리... (중략)<br /><br />YTN 김다연 (kimdy0818@ytn.co.kr)<br /><br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1_202504270501153980<br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br /><br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br /><br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