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텔레콤 유심 대란이 이어지는 가운데, 해킹 피해를 입었다는 주장도 나왔습니다. <br /> <br />60대 A씨는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알뜰폰이 개통됐고 은행계좌에서 5천만 원이 빠져나갔다며 경찰에 신고했다는데요. <br /> <br />자신이 쓰던 SKT 휴대전화 계약이 갑자기 해지되고 자신의 이름으로 알뜰폰이 개통됐고, 계좌에 있던 5천만 원이 모르는 사람에게 입금됐다는 겁니다. <br /> <br />경찰은 즉각 수사에 나섰는데요, 해킹 피해인지는 지켜봐야겠습니다. <br /> <br />이런 불안감 때문인지 통신 가입자들, 유심 교체에 열을 올리고 있습니다. <br /> <br />유심 교체 예약을 할 수 있는 인터넷 사이트에는 이렇게 조금 전 12시를 기준으로 8만 명 넘는 대기 인원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br /> <br />SKT가 악성코드로 인한 사이버 침해 사고를 인지한 건 지난 18일이었죠, <br /> <br />가입자 유심 정보가 유출된 정황을 발견하고, 이튿날 한국인터넷진흥원에 해킹 신고를 했습니다. <br /> <br />민감한 개인정보는 유출되지 않았다고 밝혔지만, 유출된 유심 정보를 활용해서 복제폰을 만들거나, <br /> <br />문자 메시지를 통한 본인 인증절차를 우회해서 금융자산을 빼돌릴 우려도 나오고 있습니다. <br /> <br />SKT가 유심 해킹 사실을 발표했지만, 아직 구체적인 유출 내용이나 피해자 수는 확인되지 않았는데요. <br /> <br />전문가들은 2차 피해를 막기 위해 유심 교체뿐만 아니라 '유심 보호 서비스'에 가입하는 걸 권장합니다. <br /> <br />[김승주 / 고려대학교 정보보호대학원 교수 : 유심보안서비스’만으로도 지금 어느 정도 수준의 보안은 담보하고 있다고 보시면 될 것 같고요. 우리나라는 외국하고 좀 다릅니다. 많은 분들이 외국에서 유심 복제가 일어났을 때 이런 일들이 있었다는 걸 SNS에 많이 올려주시는데 우리나라는 외국과는 다르게 공인인증서나 OTP 같은 것을 전 국민이 쓰고 있는 나라거든요. 그래서 OTP 비밀번호라든가 공인인증서, 공인인증서 비밀번호 등 모든 것들을 해커가 획득하지 않는 한 지금 언론에서 얘기하는 그런 사태들은 벌어지지 않을 겁니다.] <br /> <br /> <br /> <br /><br /><b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br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br />[전화] 02-398-8585 <br />[메일] social@ytn.co.kr<br /><br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3_202504281303020753<br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br /><br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br /><br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