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p><br /><br />[앵커]<br>대선을 앞두고 정당 관계자나 선거운동원을 사칭한 범죄가 기승을 부리고 있습니다. <br> <br>숙박업소에 단체 방을 예약하거나 특정 후보의 명함을 대량 주문하곤 잠적하는 식인데요. <br> <br>애꿎은 자영업자들 피해만 커지고 있습니다. <br> <br>강경모 기자입니다. <br><br>[기자]<br>춘천의 한 숙박업소. <br> <br>한 정당의 홍보실장이란 남성이 전화를 걸어왔습니다. <br> <br>선거운동 시작일인 지난 12일 20명이 숙박할 수 있도록 방을 예약하겠다고 한 겁니다. <br> <br>[정당 관계자 사칭범] <br>"선거 운동 때문에 그쪽으로 방문하게 돼서 방을 한 10개 정도 예약하고 싶어서요." <br> <br>업주가 꺼리자 예약금을 일부 결제하겠다며 안심시키기도 합니다. <br> <br>[정당 관계자 사칭범] <br>"(가예약이라 그러는데 입금 조금만 해주실 수 있어요?) 문자로 해 주시면 제가 바로 처리해 드릴게요." <br> <br>하지만 당일 남성 일행들은 나타나지 않았습니다. <br> <br>[숙박업주] <br>"저희가 (주차장) 만차 설정해놓고 최소한의 방만 이제 판매를 하고 있었던 거예요. 밤 10시, 11시 넘고 계속 불안불안하니까 이제 내가 당했구나 싶더라고요." <br> <br>그런데 이 남성, 강원 철원에서도 선거운동원 숙소를 쓰겠다며 객실 10개를 예약하고는 자취를 감췄습니다. <br> <br>알고보니 해당 정당의 당원도 아니었습니다. <br> <br>이밖에 강원 횡성에선 또다른 당의 관계자라고 밝힌 남성이 숙박시설에 방 10개를 예약한 뒤 잠적했고, 대전에선 특정 정당후보의 명함 30만 부를 주문해 놓고 잠적하는 등 비슷한 사건이 잇따르고 있습니다. <br> <br>정당 측은 "선거 방해는 물론, 자영업자들이 피해를 당하는 명백한 범죄"라며 경찰에 수사를 의뢰했다고 밝혔습니다. <br><br>경찰은 다른 사칭 사기와 달리 대리 구매 요청 등이 없다는 점에 주목하고 용의자를 쫓고 있습니다. <br> <br>채널A 뉴스 강경모입니다. <br> <br>영상취재: 김민석 <br>영상편집: 배시열<br /><br /><br />강경모 기자 kkm@ichannel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