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8 민주화운동 45주년을 맞아 광주에서는 추모 분위기가 고조되고 있습니다. <br /> <br />5·18 민주묘지에는 추모객들의 발길이 이어졌고, 옛 전남도청 일대에서도 전야제가 열리면서 많은 인파가 몰렸습니다. <br /> <br />오선열 기자입니다. <br /> <br />[기자] <br />5월 영령들이 잠들어 있는 국립 5·18 민주묘지. <br /> <br />45년 전, 황망하게 가족을 떠나보내야 했던 유족은 묘비를 어루만지며 슬픔을 달랩니다. <br /> <br />[조이조 / 5·18 유족 : 우리가 다니면서 찾으려고 3형제가 다니면서 도청으로, 어디로, 기독교 병원으로, 사방으로 찾았어요. 찾다가 못 찾고….] <br /> <br />올해로 45번째를 맞는 5·18 민주화운동 기념일을 앞두고 추모식이 열렸습니다. <br /> <br />5·18 단체와 유족들은 헌화와 분향, 임을 위한 행진곡을 제창하며 오월 정신을 되새겼습니다. <br /> <br />[양재혁 / 5·18 유족회장 : 5·18 정신의 헌법 전문 수록, 역사 왜곡 처벌법 강화, 민주 유공자 예우법 제정은 정치적 요구가 아닙니다. 그것은 시대가 요청하는 정의이며 국민의 상식입니다.] <br /> <br />금남로 거리에는 5·18정신을 알리는 다양한 체험 부스가 들어섰습니다. <br /> <br />당시 시민군이 먹던 주먹밥을 직접 만들고, 서로 나누며 대동 정신을 이어갑니다. <br /> <br />[이재광 / 광주 북구 : 모든 광주 시민들이 그때는 한마음이었고 그리고 어려웠지만 조금씩 나누자, 이게 대동 정신이 아닌가 생각됩니다.] <br /> <br />5·18 최후 항쟁지, 옛 전남도청 앞 5백여 m 도로는 추모의 장이자, 축제의 장으로 변했습니다. <br /> <br />제45주년 5.18 민주화 운동 전야제 주제는 '아, 오월, 다시 만난 오월'입니다. <br /> <br />11년 만에 주말에 열리면서 어느 때보다 많은 인파가 몰렸습니다. <br /> <br />올해는 전야제 무대를 금남 공원 사거리로 옮기면서, 다양한 방향에서 추모 공연을 볼 수 있게 됐습니다. <br /> <br />[김동우 / 광주 동구 : 저만 알고 있는 5·18 역사에 대해서 아들과 같이 와서 함께할 수 있고 같이 공유할 수 있어서 매우 좋습니다.] <br /> <br />역대 최대 규모로 예상되는 5·18 민주화 운동 45주년 공식 기념식을 앞두고, 빛고을 광주의 추모 분위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습니다. <br /> <br />YTN 오선열입니다. <br /> <br /> <br />VJ : 이건희 <br /> <br /> <br /> <br /><br /><br />YTN 오선열 (ohsy55@ytn.co.kr)<br /><b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br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br />[전화] 02-398-8585 <br />[메일] social@ytn.co.kr<br /><br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15_202505180201517008<br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br /><br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br /><br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