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사상 최대의 순이익을 올렸던 국내 은행들이 올해 1분기에도 6조 9천억 원의 당기순이익을 거뒀습니다. <br /> <br />그러나 지난해 1분기 홍콩 H지수 ELS 배상금이 제외된 기저효과가 컸고 실질적인 이익 창출력은 떨어지고 건전성 지표도 나빠졌습니다. <br /> <br />취재기자를 연결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br /> <br />류환홍 기자, 순이익은 증가했는데 이익 창출력과 건전성 지표가 나빠졌다는 것 무슨 말인가요? <br /> <br />[기자] <br />올해 국내 은행들의 당기순이익이 지난해 1분기보다 29%, 1조 5천억 원 증가한 6조 9천억 원에 달했습니다. <br /> <br />그런데 올해 1분기 순이익 증가에 지난해 1분기의 기저효과가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br /> <br />홍콩 H지수 폭락에 따른 ELS 배상금 지급으로 지난해 1분기 순이익이 감소했는데, 그 덕분에 올해 1분기 순이익이 더 커진 셈입니다. <br /> <br />국내 은행들의 주 수입원인 이자이익은 1년 전보다 오히려 1천억 원 감소해 14조 8천억 원을 기록했습니다. <br /> <br />비이자이익이 1천억 원 증가해 이자이익 감소분을 만회했습니다. <br /> <br />실질적인 이익 창출력을 나타내는 충당금적립 전 영업이익은 1년 전보다 4천억 원 감소했고, 영업이익도 7천억 원 줄어들었습니다. <br /> <br />건전성 지표도 나빠졌습니다. <br /> <br />홈플러스 사태로 기업회생과 신용손실 우려가 커지면서 대손충당금이 1년 전보다 3천억 원, 무려 24%나 급증했습니다. <br /> <br />지난 2월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던 연체율도 3월에 소폭 하락했지만, 신규 연체액은 1천억 원 증가했습니다. <br /> <br />금융당국도 이런 점을 고려해 대내외 불확실성이 큰 상황에서 은행들이 충분한 손실흡수능력을 갖출 수 있도록 감독하겠다는 방침입니다. <br /> <br />지금까지 ytn 류환홍입니다. <br /> <br /> <br /> <br /><br /><br />YTN 류환홍 (rhyuhh@ytn.co.kr)<br /><b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br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br />[전화] 02-398-8585 <br />[메일] social@ytn.co.kr<br /><br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2_202505231202019422<br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br /><br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br /><br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