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2029년까지 본토 방어체계 ’골든 돔’ 배치 천명 <br />우주 기반 방어체계가 가장 큰 특징…위성 등 활용 <br />주변국 로켓·드론 요격하는 ’아이언 돔’과 구분 <br />한국은 북핵·재래식 무기 공격 함께 방어하는 체계<br /><br /> <br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임기 안에 미 본토를 공격할 경우를 대비하기 위한 자체 미사일 방어체계인 '골든 돔' 배치를 발표했습니다. <br /> <br />이스라엘의 '아이언 돔'이 비교 대상으로 거론되지만, 방어 대상의 특성상 그 내부 성격은 크게 차이가 있는데요. <br /> <br />한국에는 어떤 방어체계가 있을까요? <br /> <br />박희재 기자가 보도합니다. <br /> <br />[기자] <br />어두운 상공에서 날아오는 로켓과 자폭드론이 요격돼 폭발합니다. <br /> <br />지난해 이란이 쏘아 올린 로켓이, 이스라엘 본토로 날아오자 '아이언돔' 체계에 요격되는 장면입니다. <br /> <br />최근 미국도 본토 방어체계인 '골든 돔' 배치를 2029년 1월까지 하겠다고 천명했습니다. <br /> <br />우주에 있는 위성과 요격기를 중심으로 한 미사일 방어 체계라는 점이 가장 큰 특징입니다. <br /> <br />[도널드 트럼프 / 미국 대통령 : 일단 '골든 돔'이 완전히 건설되면, 지구 반대편에서 발사된 미사일은 물론 우주에서 발사된 미사일까지 요격할 수 있게 됩니다.] <br /> <br />'골든 돔' 구상은 러시아와 중국, 북한에서 다량 보유한 장거리 탄도미사일을 막기 위한 목적으로 분석됩니다. <br /> <br />소련과의 군사경쟁이 최고조에 이르렀던 1980년대, 우주 기반 핵 방어 체계인 '스타워즈 구상'과 닮은꼴인데, 당시엔 기술적 한계로 무산됐습니다. <br /> <br />주변국에서 쏘아 올린 중·단거리 로켓이나 자폭드론을 지상 레이더를 토대로 탐지해 요격하는 이스라엘 '아이언 돔'과 구분되는 지점입니다. <br /> <br />우리나라는 북한의 핵·재래식 무기 공격을 함께 방어하는 체계를 갖추고 있습니다. <br /> <br />한국형 미사일방어체계, KAMD는 고도별로 나누어 대응태세를 유지합니다. <br /> <br />예를 들어 40km까지는 천궁2와 패트리엇, 70km까지는 L-SAM이 요격을 맡고, <br /> <br />더 높은 고도는 개발 중인 L-SAM 2와, 도입이 추진되는 바다 위 이지스함 함대공 미사일이 대응역할을 맡을 것으로 거론됩니다. <br /> <br />다만 10km 이하 낮은 고도로 날아오는 북한의 장사정포나, 드론의 경우 대응이 쉽지 않아 우리 군으로선 과제인 상황. <br /> <br />이 때문에 군은 앞으로 3년 안에 장사정포 방어체계인 LAMD를 실전 배치해 방어망을 더 촘촘하게 구축한다는 계획입니다. <br /> <br />YTN 박희재입니다. <br /> <br /> ... (중략)<br /><br />YTN 박희재 (parkhj0221@ytn.co.kr)<br /><br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1_202505240529170950<br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br /><br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br /><br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