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유 하면 떠오르는 사우디아라비아, <br /> <br />그런데 요즘 중동 최대 산유국 사우디아라비아를 필두로 많은 중동 국가들이 탈석유 시대를 향한 대전환을 추진 중입니다. <br /> <br />기술력과 안정적 운영 능력을 가진 우리 기업들이 발 빠르게 현지에 진출해 가시적인 성과를 내고 있는데요. <br /> <br />그 현장을 황혜경 기자가 전합니다. <br /> <br />[기자] <br />사우디아라비아 수도 리야드에서 차로 한 시간 반. <br /> <br />사막 한가운데 굴착기 수십 대가 모습을 드러냅니다. <br /> <br />섭씨 40도를 훌쩍 넘는 땡볕, 고온 건조한 강풍 속에 터파기 공사가 한창입니다. <br /> <br />2030년까지 모든 석유발전소를 폐쇄하고 가스복합발전소와 태양광, 풍력 등 재생에너지로 전환한다는 사우디 정부의 '비전 2030'에 따라 <br /> <br />사우디 최대 에너지기업 아쿠아파워가 우리 한국전력 등과 함께 짓고 있는 가스 복합 발전소입니다. <br /> <br />인근 나이리야에 짓고 있는 발전소까지 포함해 총 규모 41억2천만 달러, 우리 돈으로 5조6천억 원 규모로, <br /> <br />30% 지분을 가진 한전은 건설 이후에도 25년 동안 약 30억 달러에 이르는 매출 수익도 올릴 전망입니다. <br /> <br />수도 리야드 동쪽으로는 자푸라 열병합 발전소가 완공을 눈앞에 두고 있습니다. <br /> <br />사우디 국영석유기업 아람코가 140조 원을 투입해 추진하고 있는 '자푸라 셰일가스 개발 프로젝트'의 심장으로, 지난 2022년 한전이 수주에 성공했습니다. <br /> <br />특히 물이 부족한 내륙 사막에서 공기로 터빈의 열을 식힐 수 있는 '공랭식 응축기'가 설치됐는데 우리 중소기업의 기술력이 적용됐습니다. <br /> <br />[임진웅 /한국전력 사우디 자푸라 사업법인장 : 해외에서 가스복합 화력을 수주한 건 최초입니다. 사우디에서 최초로 수주를 했고요. 올해 10월에 준공을 하게 되면 사업 계약에 따라서 향후 20년간 발전소를 운영하면서 전력, 증기, 물을 사우디의 가스 플랜트에 보내게 됩니다.] <br /> <br />인접국 아랍에미리트에서는 총 272Km에 이르는 해저 송전망이 우리 기술로 건설 중이고, <br /> <br />K-원전의 첫 쾌거였던 바라카 원전도 안정적으로 운영되는 등 중동에서의 한국 입지는 해가 다르게 굳건해지고 있습니다. <br /> <br />[이광호 / 한국전력 중동지사장 : 중동은 다른 지역과 다르게 발주처가 무상으로 사업부지나 용수를 제공하고 가장 중요한 것은 장기적인 전기전력 판매 계약 통해 한전이 안정적인 수익을 창출할 수 있습니다.] <br /> <br />인공지능과 데이터센터 건립 등으로 중... (중략)<br /><br />YTN 황혜경 (whitepaper@ytn.co.kr)<br /><br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2_202506020217410171<br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br /><br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br /><br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