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아휴직을 쓰는 아빠들이 갈수록 늘고는 있지만, 절반 이상은 대기업 재직자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br /> <br />육아휴직에서도 양극화 현상이 나타나는 건데, 새 정부의 저출생 대책이 격차를 줄여갈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 <br /> <br />송재인 기자의 보도입니다. <br /> <br />[기자] <br />2010년대 들어 육아휴직을 쓰는 아빠들이 통계적으로 눈에 띄기 시작했습니다. <br /> <br />지난 2018년만 해도 2만 명대에 머물던 숫자는 매년 꾸준히 늘어, 재작년에는 7만 명 넘는 아빠들이 육아휴직 급여를 받았습니다. <br /> <br />하지만 통계를 조금 더 자세히 들여다보면, 사업장 간 양극화가 두드러집니다. <br /> <br />지난 2023년 육아휴직 사용 남성 가운데 대기업 재직자는 절반을 훌쩍 넘어 56.7%에 달했습니다. <br /> <br />남은 43.3%는 300명 미만 중소기업에 다니며 육아휴직을 쓴 아빠들이었습니다. <br /> <br />전보다 격차는 미세하게 줄었지만, 육아휴직 정책이 수년째 노동시장의 구조적 문제에 막혀 제대로 된 효과를 내지 못하고 있는 겁니다. <br /> <br />특히 청년 재직자가 대기업보다 중소기업에 월등히 많은 점을 고려해 저출생 문제 해소를 위한 세밀한 정책 보완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br /> <br />새롭게 출범한 정부에도 걱정 없이 아이를 낳아 기를 수 있는 대책 마련에 대한 기대가 큽니다. <br /> <br />[김세영 / 서울 양천구 : 나라에서는 저희가 저출산 해결책이라고들 많이 하는데, 저출산이라고 해서 단순히 애만 낳기 이전에 근본적인 해결책이 나왔으면 좋겠다….] <br /> <br />이에 정부는 사업주의 명시적 허가 없이도 신청만으로 쓸 수 있는 자동 육아휴직제도를 도입하는 방안 등을 예고했습니다. <br /> <br />나아가 다른 OECD 국가들처럼 근무시간 단축과 휴직 급여 수급을 병행하는 등 다양한 형태의 육아휴직을 설계할 때 남녀는 물론 직군이나 일터에 따른 차이 없이 더 광범위하게 제도를 활용할 수 있을 거라는 제언도 나옵니다. <br /> <br />YTN 송재인입니다. <br /> <br />영상편집; 변지영 <br />디자인; 전휘린 <br /> <br /> <br /> <br /> <br /><br /><br />YTN 송재인 (songji10@ytn.co.kr)<br /><b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br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br />[전화] 02-398-8585 <br />[메일] social@ytn.co.kr<br /><br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3_202506082303114878<br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br /><br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br /><br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