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부 텍사스산 원유 7.3% 급등…브렌트유 7% 치솟아 <br />중동, 세계 원유 1/3 생산…이란, OPEC 원유 3위 <br />호르무즈 해협, 세계 천연가스 1/3·석유 1/6 통과 <br />안전 자산 ’달러’ 가치 오름세…달러 인덱스 98.19<br /><br /> <br />이스라엘의 이란 공습에 중동 지역의 긴장이 고조되면서 국제 유가는 급등했고, 뉴욕 증시 3대 지수는 일제히 하락세를 보였습니다. <br /> <br />이란이 주요 원유 수송로인 호르무즈 해협을 봉쇄하거나 유조선을 공격할 가능성도 거론하고 있어 시장의 불안감은 계속되고 있습니다. <br /> <br />뉴욕지국을 연결해 자세한 소식 알아보겠습니다. 이승윤 특파원! <br /> <br />뉴욕 유가가 급등했다고요? <br /> <br />[기자] <br />네, 그렇습니다. <br /> <br />뉴욕 상업 거래소에서 7월 인도분 서부 텍사스산 원유는 전장 대비 7.3% 급등한 배럴당 72.98달러에 거래됐습니다. <br /> <br />국제 시장 비교 대상인 브렌트유 8월 인도분 가격은 7% 치솟은 74.23달러에 마감했습니다. <br /> <br />중동은 전 세계 원유 생산의 1/3을 담당하고 있고, 이란은 석유 수출국 기구에서 3번째로 원유 생산량이 많은 만큼 이란의 대응 등에 따라 원유 시장이 출렁이고 있습니다. <br /> <br />시장에서는 이란이 주요 원유 수송로인 호르무즈 해협을 봉쇄하거나 이곳을 지나는 유조선을 공격할 가능성도 거론하고 있습니다. <br /> <br />호르무즈 해협은 중동 석유와 가스의 수출 통로로 전 세계 천연가스의 1/3, 국내로 들어오는 중동산 원유 등 석유의 1/6이 지나갑니다. <br /> <br />투자 은행 JP모건은 호르무즈 해협이 봉쇄되거나 무력 충돌이 중동 전역으로 확대되면 유가가 배럴당 130달러까지 오를 수 있다고 전망했습니다. <br /> <br />뉴욕 증시 3대 지수도 동반 하락 마감했습니다. <br /> <br />우량주 중심의 다우존스30 산업 평균 지수는 1.79%, 대형주 중심의 스탠더드 앤드 푸어스 500 지수는 1.13% 하락했습니다. <br /> <br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도 1.3% 내려갔습니다. <br /> <br />비트코인 가격은 24시간 전 대비 약 1% 내린 10만 5천 달러 수준입니다. <br /> <br />반면, 안전 자산인 금 가격은 강세입니다. <br /> <br />금 현물 가격은 전장 대비 약 1.6% 오른 온스당 3,432달러 정도에 거래되며 사상 최고치였던 온스당 3,500달러 돌파를 다시 눈앞에 뒀습니다. <br /> <br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위협 속에 3년 만에 최저로 떨어졌던, 또 다른 안전 자산인 달러 가치도 오름세입니다. <br /> <br />주요 6개국 통화 대비 달러 가치를 보여주는 달러 인덱스는 98.19까지 올랐습니다. <br /> <br />경... (중략)<br /><br />YTN 이승윤 (risungyoon@ytn.co.kr)<br /><br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4_202506140558577083<br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br /><br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br /><br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