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3월 대형 산불이 경북과 경남, 울산을 동시에 덮쳐 큰 피해를 냈을 때 주민들은 한마음으로 비를 기다렸는데요. <br /> <br />비가 많이 올 때 산불이 났던 곳은 산사태 위험이 커서 이제는 이 주민들이 비 소식에 걱정이 앞선다고 합니다. <br /> <br />김종호 기자가 보도합니다. <br /> <br />[기자] <br />지난 3월 대형 산불이 휩쓸고 지나간 경북 안동시 시골 마을. <br /> <br />장마를 앞두고 사면에 거적을 덮거나 빨리 자라는 식물 씨앗을 뿌렸습니다. <br /> <br />마대를 쌓아 물길도 냈는데 밤사이 비가 내리자 일부는 여기로 나머지는 자연스럽게 생긴 물길을 따라 마을로 흐릅니다. <br /> <br />축대벽 위로 물이 넘치기도 하는데 산불에 빗물관이 녹아 막힌 탓으로 보입니다. <br /> <br />다행히 토사가 흘러내리는 등 산사태 위험 징후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앞으로 더 많은 비가 온다면 문제가 없을 거라고 장담할 수 없습니다. <br /> <br />주민들은 지도에서 마을을 지워버린 2년 전 경북 예천 산사태 같은 재난이 내 집을 덮치지 않을까 걱정입니다. <br /> <br />[이진우 / 경북 안동시 임하면 추목리 : (예천 산사태 때) 전부 쓸어가는데 그걸 보면서 참 너무 허무하다고 생각하면서 주위에 경각심도 많이 키워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br /> <br />역시 지난 3월 산불이 휩쓸고 간 울산 울주군 언양읍. <br /> <br />여기서도 담당 지자체는 장마를 앞두고 산사태 예방 조치를 진행했습니다. <br /> <br />불에 탄 나무를 잘라 정리하고 산에서 마을로 내려가는 물길을 새로 냈지만, 아직 축대벽은 서지 않았습니다. <br /> <br />주민들은 장마에 비가 계속 내리다 보면 토사가 유출되고 사면이 무너지는 사고로 이어지지 않을지 두렵습니다. <br /> <br />[구동수 / 울산 울주군 언양읍 신화마을 : (산불 피해 지역) 전체를 다 정리해놓으니 경사가 져서 그래서 비가 많이 오면 피해를 주지요. 사부작사부작 오면 괜찮은데.] <br /> <br />산불이 난 곳은 땅이 물을 잘 머금지 못해서 적은 비에도 쉽게 무너질 수 있습니다. <br /> <br />산림청은 남부지방과 제주를 중심으로 많은 비가 내릴 거로 보고 이 지역 산사태 위기 경보 수준을 '주의'로 상향 발령했습니다. <br /> <br />YTN 김종호입니다. <br /> <br /> <br /><br /><br />YTN 김종호 (hokim@ytn.co.kr)<br /><b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br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br />[전화] 02-398-8585 <br />[메일] social@ytn.co.kr<br /><br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15_202506141758126139<br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br /><br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br /><br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