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6.27 규제 이후 서울 아파트 거래량이 급감하고 있는 가운데 12억원 이상 아파트 매매 비중이 크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출 한도를 6억원으로 묶은 게 고가 아파트 거래 위축에 즉각적인 영향을 줬다는 분석이다. <br /> <br /> 7일 국토교통부 실거래가공개시스템에 따르면 고강도 대출 규제가 시행된 지난달 28일부터 이달 6일까지 서울에서 실거래 신고된 아파트는 350건. 이중 매맷값이 12억원이 넘는 비중은 24.9%였다. <br /> 규제 전과 확연한 차이가 난다. 올해 1월 1일부터 규제 시행 전인 지난달 27일까지 서울에서 실거래 신고된 아파트(4만2378가구) 중 12억원이 넘는 비중은 42.7%에 달했다. 단기간이지만 규제 시행 이후 이 비중이 17.8%포인트 줄었다. <br /> <br /> 서울 강남권과 한강벨트 지역은 당분간 거래 절벽이 심화할 가능성이 크다. 이달 1일 기준으로 서울 자치구별 12억원 이상 아파트 매매 비중을 보면 서초구가 93%로 가장 높았다. 다음은 강남구(91.6%), 용산구(85.3%), 송파구(76.9%) 순이다. 이번 규제의 ‘타깃 지역’으로 꼽히는 성동구와 마포구는 각각 51.4%, 48.3%다. 반면, 같은 기간 강북구는 12억원 이상 거래가 ‘0건’이었다. 도봉구(0.4%)와 금천구(1.2%), 노원구(2.1%)도 비중이 작았다. 구로·관악구는 4% 초반대였다. <br /> 서울은 집값이 비싼 지역일수록 대출 의존도가 낮다. 법원 등기정보광장에 따르면 올해 1...<br /><br />기사 원문 :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49590?cloc=dailymotion</a>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