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p><br /><br />[앵커]<br>북한도 TV드라마가 있는데요.<br> <br>요즘 달라졌습니다. <br> <br>신분 차이로 결혼을 반대하는 부모 그 사이 싹트는 로맨스 과거 우리 드라마 같죠? <br> <br>어떻게 달라졌고, 왜 달라졌는지, 이현재 기자가 보도합니다. <br><br>[기자]<br>남편이 앞치마를 두르고 식사 준비를 합니다. <br> <br>아들의 대학 입시 문제를 두고 아내는 남편과 싸우기도 합니다. <br> <br>[현장음] <br>"아니 농촌에는 학교가 없나? 거기서 대학 보내면 될 것 아니야." <br> <br>[현장음] <br>"당신은 아이 아버지가 맞긴 맞아요? 아버지로서 아들 앞길 한번 생각이나 해봤냔 말이예요!" <br> <br>엄격한 가부장 사회로 알려진 북한의 분위기와는 사뭇 다른 모습입니다. <br> <br>신분 격차를 이유로 결별을 요구하는 전형적인 '시월드'도 등장하고, <br> <br>[현장음] <br>"결혼이란건 말이에요, 본인들끼리 좋아한다고 되는 게 아니죠. 처녀 쪽에서 먼저 돌아서주세요." <br> <br>부모의 뜻을 꺾겠다며 애절하게 매달리는 청춘 남녀의 로맨스는 마치 한국 드라마를 연상케 합니다. <br> <br>[현장음] <br>"제발 더 이상 더 이상 날 괴롭히지 말아요. 난 이제 모든게 다 싫어졌어요." <br> <br>[현장음] <br>"여전히 날 사랑하는 눈빛이야." <br> <br>북한이 최근 방영한 22부작 드라마로, 전문가들은 변화된 사회상을 반영해 현실감을 높여 체제 선동 능력을 강화하려는 시도라고 분석합니다. <br> <br>[전영선 / 건국대 통일인문학 연구단 교수] <br>"현실에 동떨어진 얘기해봐야 통하지도 않아요. 재미있고 흥미요소를 좀 가감해야 되는 (상황입니다.)" <br> <br>북한이 한류 유입을 막으려고는 했지만, 변화한 사회상을 어느정도 인정할 수밖에 없었다는 해석이 나옵니다. <br> <br>채널A 뉴스 이현재입니다. <br> <br>영상편집 : 석동은<br /><br /><br />이현재 기자 guswo1321@ichannel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