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 /> 이재명 대통령이 22일 국회에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와 안규백(국방부)·정동영(통일부)·권오을(국가보훈부) 장관 후보자에 대한 인사청문 경과보고서를 24일까지 보내달라고 다시 요청했다. 보좌진에 이어 장관에 대한 ‘갑질 논란’까지 커지며 인사청문회 정국의 중심에 놓인 강 후보자가 이르면 25일 정식 장관이 되는 절차가 강행된 것이다. <br /> <br /> 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은 22일 오후 브리핑에서 “금주 내에 (1기 내각의) 임명을 마무리하고 신속한 국정 안정을 꾀하기 위해 기한을 24일로 요청했다”고 밝혔다. 강 대변인은 이날 오전까지만 해도 “인사청문보고서는 재송부 기한이 열흘”이라며 “윤석열 정부처럼 다음 날, 다다음 날, 이런 방식으로 기한을 재설정하지 않을 것으로 알고 있다. 아마도 (기한이) 31일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대통령실은 실제 재송부 기한을 열흘이 아닌 사흘로 줄여 속도전을 폈다. 더불어민주당 관계자는 “4개 부처 소관 상임위원장이 모두 국민의힘 소속”이라며 “열흘을 기다린다고 해도 어차피 순탄하게 채택되긴 어려운 상황”이라고 말했다. <br /> <br /> 이 대통령이 강 후보자 등 4명의 장관 임명을 25일 강행하면 이재명 정부는 출범 50일 만에 처음으로 청문보고서 채택 없는 국무위원을 임명하게 된다. 첫 ‘국회 패싱’인 셈이다. 여당인 민주당이 167석의 압도적 의석을 가진 만큼 김민석 국무총리 국회 인준을 시작으로 지금까지 9명의 장관이 여야 합의 또는 여당 단독 보고서 채택 등 국회 청문 절차를 거쳐 임명된 것과 대조적이다. <br /> <br /> <br /> 4명의 후보자 중에서도 특히 의아한 사람은 강선우 후보자다. 조각 인사 초반만 하더라도 ‘실용 인사’로 호평을 받던 이 대통령의 발목을 잡은 게 강 후보자와 지난 20일 지명이 철회된 이진숙 전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후보자기 때문이다. 각각 갑질 의혹과 논문 표절 의혹을 받은...<br /><br />기사 원문 :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53560?cloc=dailymotion</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