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로 예정됐던 한미 고위급 '2+2 통상 협의'가 갑자기 연기되면서 다음 달 1일 이전에 합의가 타결될지 불투명한 상황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br /> <br />미국을 방문한 산업부 장관 등은 막바지 협상을 이어가며 합의점 모색에 나섰습니다. <br /> <br />워싱턴 연결해 자세한 소식 들어보겠습니다. 신윤정 특파원! <br /> <br />[기자] <br />네, 워싱턴입니다. <br /> <br /> <br />김정관 산업통상부 장관과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이 미국 상무장관과 통상 협의를 했다고요, 어떤 논의가 이뤄졌습니까? <br /> <br />[기자] <br />김정관 장관과 여한구 본부장은 현지 시간 24일, 하워드 러트닉 미 상무부 장관과 만나 막판 무역 협상을 벌였습니다. <br /> <br />이번 협상은 25% 상호관세 부과를 일주일 앞두고 열려던 '2+2 협의'가 연기된 직후에 이뤄지는 후속 접촉으로, 막판 타협점을 찾기 위한 실무 협상으로 볼 수 있습니다. <br /> <br />정부 관계자는 YTN과의 통화에서 오전 10시 40분쯤부터 약 1시간 20분간 워싱턴DC에 있는 상무부에서 심도 있는 협의를 했다고 밝혔습니다. <br /> <br />조선과 반도체, 배터리 등 전략 산업과 에너지 분야 협력방안과 함께 관세 인하와 관련한 우리 측의 요구를 전달했을 것으로 보입니다. <br /> <br />러트닉 장관은 협상에 앞서 방송 인터뷰에서 우리나라가 협상을 매우 타결하고 싶어 한다고 언급했습니다. <br /> <br />그러면서 일본을 경계하는 한국으로선 미국과 일본의 협상 타결을 보고 매우 곤란했을 것이라고 말했는데요, <br /> <br />한국과 일본이 미국과의 협상에서 경쟁 관계에 있다는 점을 상기하며 일본과의 합의를 기준점으로 협상에 나설 것을 암시한 것으로 보입니다. <br /> <br />특히 일본에 5,500억 달러 규모 투자와 함께 자동차·쌀 시장 개방에 나섰기 때문에 우리나라와도 비슷한 수준의 양보 없이는 관세 인하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습니다. <br /> <br /> <br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예고한 고율의 상호관세 부과 전에 2+2 협의가 재개될 수 있을까요? <br /> <br />[기자] <br />정부는 최대한 빠른 시일 안에 다시 열자는 미국 측의 메시지를 공개하긴 했지만, 남은 시간과 협상 상대방의 일정을 고려하면 쉽지는 않아 보입니다. <br /> <br />스콧 베센트 미 재무장관은 28일부터 이틀간 스웨덴에서 미중 무역 협상에 나서고, <br /> <br />현지 시간으로 25일부터 닷새간 이어지는 트럼프 대통령의 스코틀랜드 방문 일정 동행 가능성도 거론되고 있습니다. <br /> <br />물리적으로 '2+2 협의'가 가능한 시간이 ... (중략)<br /><br />YTN 신윤정 (yjshine@ytn.co.kr)<br /><br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4_202507250535483238<br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br /><br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br /><br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