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과 유럽이 미국과 협상에서 15%의 관세를 부과 받게됐습니다. <br /> <br />우리 정부도 취소된 2+2 고위급 협의 대신 31일 구윤철 경제부총리와 베센트 재무 장관이 만나 막판 협상을 벌이기로 했습니다. <br /> <br />취재기자 연결해 자세히 알아봅니다. <br /> <br />박기완 기자, 막판 협상을 앞둔 우리 정부 입장에서 일단 일본과 EU의 상호관세로 최종 결정된 15%가 중요한 숫자가 되겠군요? <br /> <br />[기자] <br />네, 그렇습니다. <br /> <br />일본은 오는 8월부터 25%, EU는 30%의 대미 상호관세가 부과될 예정이었습니다. <br /> <br />하지만 대규모 투자 약속과 시장 개방 등 미국 요구에 맞춰, 예상보다 크게 관세율을 낮추는 데 성공했습니다. <br /> <br />특히 일본이나 유럽, 한국 모두 자동차 산업을 비롯해 제조업 중심으로 발전해왔는데요. <br /> <br />그만큼 경쟁 품목이 많다는 이야기인데요. <br /> <br />우리 정부가 일본과 EU가 받은 15% 또는 더 낮은 관세 협상에 성공하지 못하면, <br /> <br />우리나라 제품은 미국 시장에서 10%가량 더 비싸게 판매될 수밖에 없습니다. <br /> <br />우리 기업의 노력 끝에 좋은 제품을 개발한다고 해도 이번 협상이 틀어진다면 경쟁력은 사라질 수밖에 없습니다. <br /> <br />2+2 고위급 통상 협의가 불발된 뒤부터는 특히 우려의 목소리가 커졌는데요. <br /> <br />그나마 오는 31일 구윤철 경제부총리와 베센트 재무장관의 회담이 다시 성사됐습니다. <br /> <br />구 부총리는 30일 미국으로 출국할 것으로 보입니다. <br /> <br />8월 1일 상호관세 부과 시한인 만큼, 이번이 사실상 막판 협상이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br /> <br />김정관 산업부 장관과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은, 협상 관련 대응을 이어가면서 <br /> <br />일단 구 부총리와 베센트 장관의 막판 협상 직전까지 우호적 분위기를 만들고 우리 입장을 설명하는 데 집중하고 있습니다. <br /> <br /> <br />일본과 EU는 대규모 투자금을 무기로 협상을 타결 시켰는데, 우리 정부는 어떤 걸 준비하고 있습니까? <br /> <br />[기자] <br />네, 최근 수출 실적을 앞에서 이끌고 있는 조선업이 제일 큰 무기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br /> <br />미국이 중국의 해양패권에 맞서기 위해 제일 필요한 기술이 바로 조선업이기 때문입니다. <br /> <br />또 우리나라가 동맹 가운데서도 조선업에서 앞서있고, 이 때문에 최근까지도 미국 인사들은 한국에 올 때마다 거제와 울산 조선소를 둘러보기도 했습니다. <br /> <br />정부는 미국과의 협상에서 미국 측의 높은 관심을 확인했다고 밝혔습니다. <br /> <br />인재 양성과 시설 기반 마련까지... (중략)<br /><br />YTN 박기완 (parkkw0616@ytn.co.kr)<br /><br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2_202507281352401662<br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br /><br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br /><br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