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과 중국 고위급 대표단이 스웨덴 스톡홀름에서 3차 무역 협상을 마무리했습니다. <br /> <br />양측은 서로 부과하기로 했던 관세 유예 기한을 추가로 연장하기로 뜻을 모았는데, 미국 측은 트럼프 대통령의 결정에 달렸다고 밝혔습니다. <br /> <br />런던 연결합니다. 조수현 특파원! <br /> <br />[기자] <br />네, 런던입니다 <br /> <br /> <br />협상 결과 자세히 전해주시죠. <br /> <br />[기자] <br />네, 스웨덴 스톡홀름에서 열린 미·중 3차 무역 협상이 이틀 만에 종료됐습니다. <br /> <br />미국 측에서는 스콧 베센트 재무장관과 제이미슨 그리어 무역대표부 대표, 중국 측은 허리펑 국무원 부총리와 리청강 국제무역담판대표 등이 참석했는데요. <br /> <br />협상을 마무리한 뒤 리청강 대표는 기자회견을 열고, 양국이 서로 부과하기로 했던 관세 유예를 연장을 추진하기로 했다고 밝혔습니다. <br /> <br />다만 새로운 기한이 언제까지인지는 언급하지 않았습니다. <br /> <br />이와 관련해 그리어 대표는 '90일 연장'은 트럼프 대통령이 승인할 수 있는 옵션 가운데 하나라고 밝혔습니다. <br /> <br />베센트 장관은 만약 트럼프 대통령이 유예 연장을 승인하지 않으면 중국산 상품에 대한 관세는 4월 당시 초고율 수준으로 되돌아가거나 트럼프 대통령이 선택하는 다른 수준이 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br /> <br />양국은 지난 5월 1차 제네바 협상에서 서로 100% 넘게 부과하던 관세를 90일간 각각 115%포인트씩 대폭 낮추는 데 합의했습니다. <br /> <br />이어 6월 2차 런던 협상에서는 각각 반도체 등 기술과 희토류의 수출 통제를 양보하기로 했습니다. <br /> <br />중국 측은 양측이 3차 협상에서 솔직하고 심도 있으며 건설적인 대화를 나눴다며 건전하고 안정적인 관계 유지 필요성에 공감대를 이뤘다고 설명했습니다. <br /> <br />또 앞으로도 무역·경제 문제에 대해 계속 소통하고 적시에 의견을 교환할 것이라고 밝혔는데요. <br /> <br />미국 측은 다음 회담을 90일 정도 후로 예상하면서 중국이 전 세계에 영향을 미치는 제조업 흑자가 있다는 사실을 인정하지 않았다고 지적하는 등 부정적인 분위기도 감지됐습니다. <br /> <br />지금까지 런던에서 YTN 조수현입니다. <br /> <br /> <br /> <br /> <br /><br /><br />YTN 조수현 (sj1029@ytn.co.kr)<br /><b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br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br />[전화] 02-398-8585 <br />[메일] social@ytn.co.kr<br /><br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4_202507300201359707<br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br /><br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br /><br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