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실이 한국형 차세대 전력망 관련 브리핑을 진행합니다. <br /> <br />현장으로 가보겠습니다. <br /> <br />[김용범 / 대통령실 정책실장] <br />오늘 오후 대통령 주재 수석보좌관회의에서 K그리드 구축 구상의 한 축으로서 지난 7월 10일 말씀드린 R&E 100 산단 조성 계획과 호남 지역 전력망 접속 후속 시리즈입니다. <br /> <br />대통령께서도 매우 큰 관심을 가지고 조속히 추진하라고 말씀하셨습니다. <br /> <br />20세기가 석유의 시대였다면 21세기는 전기의 시대입니다. <br /> <br />국제 재생에너지기구는 2050년경 최종 에너지 중에서 전기가 차지하는 비중이 52%에 도달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br /> <br />탄소중립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AI데이터센터 등 전력소비가 많은 설비들이 늘어나고 있기 때문입니다. <br /> <br />다가오는 전기화 시대 핵심은 재생에너지가 될 것입니다. <br /> <br />물론 원자력과 같은 무탄소 전원도 필요하지만 재생에너지의 기술 발전 속도가 빠르고 효율도 높아지고 있기 때문에 전기화 시대의 주역으로 꼽히고 있습니다. <br /> <br />재생에너지가 늘어나면 일부 지역에서 대형 발전소로 전기를 만들어 전국으로 장거리 송전하는 지금의 전력 체계는 변화가 불가피합니다. <br /> <br />지역에서 생산하고 지역에서 소비하도록 소규모 전력망을 전국에 만들어 송전을 최소화하고 에너지 효율을 높이는 분산 에너지 전력망으로 전환해야 하는 것입니다. <br /> <br />이를 위해 재생에너지 잠재량이 풍부한 데다 전력망 구축이 시급한 전남권을 차세대 전력망의 혁신 기지로 만들어가겠습니다. <br /> <br />전남 지역의 철강, 석유화학 등 산업단지를 재생에너지 마이크로 그리드 산단으로 조성하고 유연성 자원을 집중시키겠습니다. <br /> <br />전남에 있는 대학 캠퍼스와 스마트팜, 공항, 군부대 등에 마이크로 그리드를 구축하고 그리드를 다방향으로 연결해 인공지능, 재생에너지 기반의 차세대 전력망을 구축하는 시범 사업을 진행하겠습니다. <br /> <br />마이크로 그리드라는 개념에 대해서 잠시 설명드리면 마이크로 그리드란 작은 지역에서 재생에너지로 전기를 생산하고 남으면 저장하고 모자라면 저장해 뒀던 전기를 사용하고 에너지를 효율화하는 최신 기술을 적용한 작은 전력망입니다. <br /> <br />이런 작은 전력망들을 전국에 만들어 그물처럼 연결하는 것이 미래형 전력 체계입니다. <br /> <br />또한 한국 에너지 공대와 전남대, 광주과학기술원 등을 중심으로 한국판 실리콘밸리가 될 수 있는 K그리드 인재 창업밸... (중략)<br /><br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replay/view.php?idx=21&key=202507311703123463<br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br /><br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br /><br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