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30일 타결된 한ㆍ미 관세 협상의 내용을 놓고 양국간 잡음이 이어지고 있다. 특히 한국 측에 민감한 이슈인 쌀 시장 개방을 놓고 이견이 나오는 모습니다. <br /> <br /> 캐롤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은 지난달 31일(현지시간) 브리핑에서 한ㆍ미 관세협상을 설명하며 “자동차와 쌀(autos and rice) 등 미국산 상품에 대한 역사적인 시장 접근을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 정부는 협상 직후 쌀과 소고기 등 농축산물 시장의 추가 개방 없이 관세를 낮춘 것을 주요 성과로 내세웠는데 미국 측에서 다른 말이 나온 것이다. <br /> 레빗 대변인의 발언이 전해지자 쌀 시장 개방 등에 논란이 커졌다. 그러자 정부가 적극 진화에 나섰다. 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은 1일 브리핑에서 “쌀이나 농축산물 시장에 대해서는 (추가) 개방이 안 된 건 확실히 맞다”며 “미국 측에서 오해가 있엇던거 것 같다”고 말했다. 이날 협상을 마치고 미국에서 귀국한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도 "쌀과 관련해서는 (이번 협상에서) 전혀 논의되지 않았다"고 말했다. <br /> 쌀, 소고기 등을 둘러싼 논란은 협상 타결 직후부터 예견됐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협상 타결 소식을 전하며 “한국이 미국산 자동차ㆍ트럭ㆍ농산물 등에 대해 시장을 완전히 개방(completely OPEN)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정부 측은 이에 대해 ‘정치적 수사’라는 입장이다. 한ㆍ미 자유무역협정(FTA)로 농산물 시장의 99.7%가 개방돼 있는 등 이미 완전히 개방된 점 등을 재차 확인한 발언이라는 게 정부 측의 설명이다. <br /> <br /> 다만 정부의 설명대로 쌀과 소고기 등 농산물 시장 추가 개방은 없더라도, 미국산 과일 등에 대한 검역 기간 단축 등...<br /><br />기사 원문 :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56138?cloc=dailymotion</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