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p><br /><br />[앵커]<br>오늘 중요한 고위당정협의회가 있었습니다. <br> <br>정부의 세제개편안, 양도소득세 부과 기준이 되는 대주주 요건을 논의했거든요. <br><br>당에서는 우려를 전달한 것으로 전해지는데 어떻게 결론이 났는지 국회 취재기자 연결해보겠습니다. <br> <br>최재원 기자, 대주주 요건 기준 10억 원이냐, 50억 원이냐, 결론이 났습니까?<br><br>[기자]<br>오후 4시부터 시작된 고위당정협의회가 방금 전 끝이 났습니다. <br> <br>가장 관심을 모은 대주주 기준 요건은 오늘 결정하지 않고 숙고하기로 했습니다. <br> <br>당이 우려를 전하면서 대통령실과 정부가 조금 더 시간 갖고 고민하겠다, 한 발 물러선 셈입니다. <br><br>[박수현 / 더불어민주당 수석대변인] <br>"오늘 협의에서는 주식양도세와 관련한 논의가 있었습니다. 당정간 긴밀하게 논의하고 조율하였으며 향후 추이를 조금 더 지켜보며 숙고하기로 하였습니다." <br> <br>정청래 민주당 대표 등 새 지도부 취임 후 국무총리, 비서실장이 다 모인 첫 고위당정협의회였는데요. <br> <br>박수현 민주당 수석대변인은, 양도세 대주주 기준과 관련해 그동안 당이 모아온 의견들을 정부에 전했다고 밝혔습니다. <br> <br>정부는 앞서 양도소득세 부과 기준이 되는 대주주 자격을 현행 50억 원에서 10억 원으로 개편한다는 안을 발표했었는데요. <br> <br>당이 전달했다는 의견에는 정부의 발표에 우려가 포함된 것으로 전해집니다. <br> <br>박 대변인은 양도세 문제에 대해 당정간 긴밀하게 논의하고 조율해서 향후 추이를 더 지켜보자고 결론 내렸다고 발표했습니다. <br><br>정부가 기존안을 밀어붙이지 않고, 일단 당의 우려가 전달된 만큼, 향후 투자자 여론과 주식시장 추이 전반을 시간을 두고 검토하겠다는 뜻으로 풀이됩니다. <br> <br>지금까지 국회에서 전해드렸습니다. <br> <br>영상취재 : 윤재영 <br>영상편집 : 이혜리<br /><br /><br />최재원 기자 j1@ichannel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