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정부가 22일 내년도 정부 연구개발(R&D) 예산안을 역사상 최대 규모인 35조3000억원 규모로 심의·의결했다. 윤석열 정부 때인 2024년 26조5000억원까지 줄어든 예산을 대폭 늘린 것이다. <br /> <br /> 이 대통령은 이날 오전 10시 30분 제1회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전원회의를 열고 이같은 내용이 담긴 ‘2026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 예산 배분·조정안’을 심의·의결했다.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는 대통령을 의장으로 하는 과학기술 분야 최상위 의사결정 기구다. 당초 계획상으로는 R&D 예산을 6월에 결정해야 하지만, 국정과제를 만든 국정기획위원회의 보류 요청에 따라 이날 결정됐다. <br /> <br /> 정부가 R&D 예산안을 가장 극적으로 증액한 분야는 인공지능(AI)로, 전년 대비 2배(106.1%)인 약 2조3000억원 규모로 편성됐다. 범용인공지능과 경량·저전력AI 등 차세대 기술에 집중 투자하기로 했다. 이 대통령은 “AI 분야는 향후 2~3년이 골든타임이다. 이 시기에 한 발짝 앞서면 무한한 기회를 누리는 선도자가 되겠지만, 뒤쳐지면 영원히 추격자로 남게 된다”고 강조했다. <br /> <br /> 정부는 이밖에 전략기술(8조5000억원)·방위산업(3조9000억원)·중소벤처(3조4000억원)·인력양성(1조3000억원) 등의 분야에서도 20% 이상 예산을 증액했다. 이 대통령은 특히 인력양성과 관련해 “지난 30년간 출연연구기관 연구원의 정체성을 흔든 연구과제중심제도(PBS)도 단계적으로 폐지하고, 출연연별 임무 중심형으로 재정구조를 전환해 연구자들이 국내에서 5년~10년 뒤 미래를 설계하고 연구와 함께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br /><br />기사 원문 :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60907?cloc=dailymotion</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