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 임신 등 고위험 산모가 늘어나면서 전문 의료시설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습니다. <br /> <br />이런 상황에서 제주대학교병원이 고위험 산모와 신생아를 위한 권역 모자 의료 센터로 지정됐지만, 운영에 필수적인 의사 인력 확보가 가장 큰 과제입니다. <br /> <br />KCTV 제주방송 문수희 기자의 보도입니다. <br /> <br />[기자] <br />결혼 연령이 높아지면서 제주에서도 고위험 산모의 비율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습니다. <br /> <br />하지만 산부인과 인프라가 열악해 헬기를 통해 다른 지역으로 이송되는 사례가 잇따르고 있습니다. <br /> <br />과거 연간 한두 건에 불과했던 산모 긴급 이송 건수는 2023년 8건, 2024년 5건, 올해도 지난달까지 이미 3건을 기록했습니다. <br /> <br />이런 상황에서 보건복지부가 제주대학교병원을 권역 모자의료센터로 지정하면서 위험 산모와 신생아 치료 체계가 강화될 전망입니다. <br /> <br />권역 모자의료센터는 중증 합병증이 있는 산모와 신생아에게 24시간 전문 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거점 의료기관입니다. <br /> <br />시설·장비 확충에 국비와 도비를 합쳐 10억 원이 투입되고 운영비로 매년 6억 원이 지원됩니다. <br /> <br />센터가 본격 가동되면 고위험 산모·신생아 응급치료를 뿐 아니라 합병증을 동반한 임신과 분만, 신생아 기형 수술까지 가능해져 다른 지역으로의 긴급 이송이 크게 줄어들 것으로 기대됩니다. <br /> <br />하지만 전국적으로 산과 전문의가 부족한 현실이 걸림돌입니다. <br /> <br />현대 제주대병원에 갖춰진 신생아 집중치료 병상도 부족한 의사 문제로 가동하지 못하는 일이 잦습니다. <br /> <br />권역 모자의료센터 운영 기준에는 산과 전문의 4명, 신생아 전문의 4명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명시돼 있지만, 제주대병원의 현재 상황은 기준에 미치지 못하고 있습니다. <br /> <br />[김우정 제주대학교 병원 부원장 : 지역 사회에서 늘어나는 수요가 있을 때 다소 병상이 부족할 수 있기 때문에 권역 기준에 맞게 신생아 중환자실을 보강하고 24시간 충분히 커버될 수 있도록 고위험 분만 담당 산과 교수님이나 신생아 전담 전문의를 충원을 지속적으로 할 예정입니다.] <br /> <br />제주권역 모자의료센터가 지정되며 고위험 산모를 위한 안전망 구축의 발판이 마련됐지만, 이름뿐인 센터에 그치지 않도록 전문 인력 확보가 시급한 과제로 지목되고 있습니다. <br /> <br />KCTV 뉴스 문수희입니다. <br /> <br /> <br />영상기자: 김승철 <br />디자인: 이아민 <br /> <br /> <br /><br /><br />YTN 문수희 kctv (kimmj0225@ytn.co.kr)<br /><b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br />[카카오톡] YTN 검... (중략)<br /><br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15_202508240404443171<br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br /><br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br /><br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