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유일 국방 연구개발기관인 국방과학연구소가 창립 55주년을 맞았습니다. <br /> <br />총 한 자루 못 만들던 나라에서 주요 방산 국가로 도약을 이끈 연구소의 여정과 과제를 나혜인 기자가 보도합니다. <br /> <br />[기자] <br />열 개 나라에 수출된 K9 자주포부터 K2 흑표 전차, 한국형 패트리엇 천궁-Ⅱ까지, <br /> <br />국방과학연구소가 개발해 해외시장 개척에 성공한 대표적 국산 무기입니다. <br /> <br />1970년 국립기관으로 창설된 국방과학연구소는 55년 만에 소총 한 자루 못 만들던 나라를 세계 8위 국방기술 강국으로 끌어올렸습니다. <br /> <br />어느덧 23개 나라가 우리 무기를 쓰겠다고 나섰고 계약 수주 금액은 60조 원을 돌파했습니다. <br /> <br />[안규백 / 국방부 장관 (지난 1일) : 폴란드 땅에서 K-2 전차는 성능 이상의 의미를 가질 뿐만 아니라 폴란드를 지키는 굳건한 수호신이 될 것으로….] <br /> <br />무기체계 국산화로 얻은 경제효과는 더 큽니다. <br /> <br />연구소가 개발한 무기체계 303개 가운데 146개가 실전에서 운용되고 있는데 수입 무기를 쓰는 것보다 무려 7백조 원에 달하는 예산 절감, 전력 증대 효과가 있는 것으로 추산됐습니다. <br /> <br />그동안 들인 연구개발비의 10배가 넘습니다. <br /> <br />우여곡절은 많았습니다. <br /> <br />미국은 과거 우리의 독자 미사일 개발을 원치 않았고 탄두 중량, 사거리 규제는 2021년에야 완전히 해제됐습니다. <br /> <br />잠수함 발사 탄도미사일, SLBM이나 초음속 순항미사일을 비롯한 고위력 무기 개발에 족쇄가 풀렸고 연구소는 극초음속 미사일이나 차세대 전투기 사업 등에도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 <br /> <br />[이건완 / 국방과학연구소장 (지난 4월) : 과학기술의 요람이자 K-방산의 산실로서 목숨을 걸고 연구에 매진하고 있습니다.] <br /> <br />북핵 대응에 더해 달라진 전쟁 양상에 대비한 첨단무기 개발은 남겨진 과제입니다. <br /> <br />연구소는 유·무인 복합 전투체계와 우주, 사이버 공간에서 인공지능을 활용하는 등 미래전을 선도할 차세대 국방기술 개발에 역량을 모을 방침입니다. <br /> <br />YTN 나혜인입니다. <br /> <br /> <br />영상편집 : 최연호 <br />디자인 : 김진호 <br />화면제공 : 국방부·국방과학연구소 <br /> <br /> <br /><br /><br />YTN 나혜인 (nahi8@ytn.co.kr)<br /><b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br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br />[전화] 02-398-8585 <br />[메일] social@ytn.co.kr<br /><br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1_202508240509020551<br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br /><br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br /><br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