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통령이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위해 미국으로 향하는 가운데 미국 언론들은 방위비와 중국 견제 문제가 최대 이슈가 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br /> <br />사상 처음으로 일본과 정상회담을 먼저 개최한 것도 트럼프를 만나기 전 전략적 판단에 따른 것이란 평가가 나왔습니다. <br /> <br />국제부 연결해 자세한 내용 알아보겠습니다. 권준기 기자! <br /> <br />외신들도 이 대통령이 일본을 먼저 찾은 건 이례적인 방문 순서라고 평가했다고요? <br /> <br />[기자] <br />네, 해외 언론들도 이재명 대통령이 미국보다 일본을 먼저 방문한 점을 주목하고 있습니다. <br /> <br />AP 통신은 이 대통령이 '트럼프 리스크' 속에서 한미일 삼자 협력을 조율하기 위한 외교적 전략을 발휘한 거라고 분석했습니다. <br /> <br />로이터 통신도 '이례적인 방문 순서'가 이번 순방의 특징이라며, <br /> <br />한국과 일본이 미국과의 안정적인 안보 협력을 위해 삼각 협력 체계를 재확인하는 목적이라고 평가했습니다. <br /> <br />워싱턴포스트도 이번 방문은 이 대통령의 실용외교 스타일을 보여준다며, 한일 양자 관계 뿐 아니라 한미일 3자 협력도 염두에 둔 행보라고 분석했습니다. <br /> <br />집권 1기 때부터 한미일 협력을 중시해 온 트럼프 대통령에게 한일 관계가 원활하다는 점을 증명하면서 미국과의 정책 공조에 속도를 내려는 의도로 보는 것으로 풀이됩니다. <br /> <br /> <br />미국에선 한미 정상회담에서 어떤 이슈가 주요하게 다뤄질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까? <br /> <br />[기자] <br />네, 로이터통신은 익명을 요구한 미국 당국자의 말을 인용해 '방위비 분담' 문제가 한미 정상회담의 주요 쟁점이 될 거라고 전했습니다. <br /> <br />한국이 매년 10억 달러 이상을 미군 주둔 비용으로 쓰고 있지만 트럼프 대통령은 더 쓰길 원한다는 겁니다. <br /> <br />현재 GDP 3.5% 수준인 국방비 지출도 5%까지 끌어올리길 바란다고 덧붙였습니다. <br /> <br />이와 함께 주한미군의 '전략적 유연성' 문제도 주요 이슈가 될 전망입니다. <br /> <br />미국의 최대 관심사가 중국인 만큼 주한미군을 북한 대응에 머물지 않고 어떻게 중국 견제에 활용할 수 있을지 폭넓게 논의하길 원한다는 미국 당국자의 말을 전했습니다. <br /> <br />로이터는 하지만 미국과 중국 사이에서 균형을 잡겠다고 공언해 온 이재명 대통령에겐 이 문제가 부담이 될 거라고 관측했습니다. <br /> <br /> <br />트럼프 대통령이 워낙 까다로운 상대다 보니 여러 가지 조언들도 나왔죠? <br /> <br />[기자] <br />네, 스콧... (중략)<br /><br />YTN 권준기 (jkwon@ytn.co.kr)<br /><br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4_202508241000453679<br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br /><br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br /><br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