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강 수출량 축소로 이익률 하락…대미 수출길 차단 <br />강관 대미 수출 24%·유정용 강관 98%·송유관 78% <br />미국, 멕시코·캐나다에도 관세…투자 부담 커져 <br />일본제철의 US스틸 인수…포스코…현대제철에 불리<br /><br /> <br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로 우리 기업의 타격이 커지면서 한미 정상회담에서 풀어야 할 과제가 하나둘이 아닙니다. <br /> <br />특히 반도체와 자동차는 대미 투자를 명분으로 시간을 벌고, 철강은 쿼터나 품목 예외 조치를 요청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br /> <br />뉴욕지국을 연결해 자세한 소식 알아보겠습니다. 이승윤 특파원! <br /> <br />한미 정상회담에서 조치가 시급한 산업 분야는 어디인가요. <br /> <br />[기자] <br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는 대외 의존도가 높은 한국의 철강과 자동차, 반도체 산업에 치명적입니다. <br /> <br />우리 수출 기업들은 수출 감소와 수익성 악화에 대규모 미국 투자 부담까지 지게 돼 이번 한미 정상회담을 통해 불확실성이 제거되고, 수출 경쟁력이 제고되길 기대하고 있습니다. <br /> <br />가장 타격이 제일 큰 산업은 올해 3월 25%, 6월엔 50%로 관세가 오른 철강입니다. <br /> <br />철강 수출량은 물론, 국내 수요 산업의 미국 수출 위축에 따른 내수 판매량도 축소되면서 영업이익 하락이 불가피해졌고, 대미 수출길은 사실상 차단됐습니다. <br /> <br />특히 강관의 대미 수출 비중이 24%, 유정용 강관은 98%, 송유관은 78%라서 타격은 더욱 심각합니다. <br /> <br />USMCA로 관세가 면제됐던 멕시코와 캐나다에도 트럼프 대통령이 관세를 부과하면서 투자 대상지가 미국으로 좁혀져 투자 부담도 커졌습니다. <br /> <br />경쟁사인 일본제철이 141억 달러를 들여 미국 현지의 고로와 전기로를 보유한 US스틸을 인수하고 2028년까지 110억 달러를 추가로 투자하면서 포스코와 현대제철에는 상황이 더 불리해졌습니다. <br /> <br />이에 한미 정상회담에서 한국산 철강 쿼터나 품목 예외 조치를 요구할 필요가 있습니다. <br /> <br />앞서 2018년 한국은 트럼프 1기 때 연간 263만 톤의 면세 쿼터를 확보해 올해 1분기까지 해당 쿼터 안에서 무관세로 수출해왔기 때문입니다. <br /> <br />한국의 무역 수지 흑자에서 25%를 차지한 자동차도 일본과 EU 등 경쟁국과 유사한 15% 관세가 확정되면서 한미 FTA로 누렸던 2.5%의 관세 우위 효과가 사라져 수출이 20% 줄어들 전망입니다. <br /> <br />현대·기아차는 미국 판매 차량의 40%를 현지에서 생산하고 있는데 제네시스나 하이브리드차 같은 고급 차종을 미국에서 생산... (중략)<br /><br />YTN 이승윤 (risungyoon@ytn.co.kr)<br /><br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4_202508250544033787<br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br /><br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br /><br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