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 "전승절 기념행사에 국가 원수 등 26명 참석" <br />푸틴에 이어 김정은 위원장 두 번째로 소개 <br />김 위원장, 2019년 이후 6년여 만에 중국 방문 <br />탈냉전 이후 처음으로 북중러 정상 한자리에 설듯<br /><br /> <br />다음 달 3일 중국의 전승절 80주년 열병식을 앞두고 세계의 시선이 중국 베이징으로 쏠리고 있습니다. <br /> <br />북한과 중국, 러시아 세 정상이 나란히 열병식에 참석하며 협력 가능성을 키우면서 신냉전 구도를 우려하는 목소리도 나옵니다. <br /> <br />국제부 기자 연결합니다. 한상옥 기자! <br /> <br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도 이번 열병식에 참석하기로 하면서 북중러 세 정상이 톈안먼 광장 망루에 함께 선 모습을 볼 수 있을 거 같군요? <br /> <br />[기자] <br />네, 우리나라의 차관보급인 훙레이 중국 외교부 부장조리는 28일 기자회견에서 "외국 국가 원수와 정부 수뇌 26명이 기념행사에 참석한다"고 발표했습니다. <br /> <br />그러면서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에 이어 두 번째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을 소개했습니다. <br /> <br />김 위원장의 중국 방문은 2019년 이후 6년여 만입니다. <br /> <br />북한과 중국, 러시아 지도자가 한자리에 모이는 것은 탈냉전 이후 처음입니다. <br /> <br />러시아 크렘린궁 관계자는 열병식이 진행되는 동안 시 주석의 오른쪽에 푸틴 대통령이, 왼쪽에 김 위원장이 앉을 예정이라고 설명했습니다. <br /> <br /> <br />세 정상이 나란히 한 자리에 서는 모습이 예상되면서 신냉전 구도를 우려하는 전망도 있죠? <br /> <br />[기자] <br />로이터 통신과 국제정치 전문매체 '더 디플로마' 등 주요 외신들은 이번 열병식을 계기로 북중러 간 협력이 일대 전환점을 맞을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br /> <br />북중러 정상이 톈안먼 광장 망루에 나란히 앉은 장면이 전 세계에 생중계될 경우 신냉전의 시작을 알리는 상징적 장면이 될 수 있다는 관측까지 나옵니다. <br /> <br />김 위원장과 시 주석, 푸틴 대통령 간 사상 첫 3자 정상회담 가능성도 제기됩니다. <br /> <br />3자 정상회담이 열린다면 2023년 한미일의 캠프 데이비드 정상회의에 비견될 거라는 평가도 있습니다. <br /> <br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일방적 관세정책을 밀어붙이며 자국 이익을 우선시하고 다자기구에서도 발을 빼는 상황에서, 중국은 '다자주의 수호자' 이미지를 얻을 수도 있습니다. <br /> <br />[시진핑 / 중국 국가주석 : 올해는 세계 반 파시스트 전쟁 승리와 유엔 창설 80주년이 되는 해입니다. 역사는 다자주의와 연대, 협력이 글로벌 도전과제에... (중략)<br /><br />YTN 한상옥 (hanso@ytn.co.kr)<br /><br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4_202508311006224368<br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br /><br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br /><br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