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통령이 노사정 사회적 대화 복원에 본격적인 시동을 걸었다. 4일 김동명 한국노총 위원장과 양경수 민주노총 위원장을 대통령실로 초청해 가진 오찬 자리에서 대통령 직속 기구인 경제사회노동위원회(경사노위) 참여를 제안했다. 이날 오찬에는 김영훈 고용노동부 장관도 배석했다. <br /> <br /> 이 대통령은 “우리 사회의 제일 큰 과제가 포용과 통합”이라며 “노동자와 사용자 측이 일단 대화를 해서 오해를 풀고, 어쩌면 있을지도 모르는 적대감 같은 것도 해소하고, 진지하게 팩트(fact·사실)에 기반해서 입장 조정을 위한 토론을 많이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전날 민주노총이 국회 주도 사회적 대화에 참여하기로 결정한 걸 언급한 뒤 “경사노위도 조직을 못하고 있는데, 그 문제도 좀 한번 같이 논의하면 좋겠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만나서 싸우든지 말든지, 결론을 내든지 말든지 해야지, 아예 왜 안 보는 것이냐”고 덧붙였다. <br /> <br /> 이어진 비공개 회동에서 이 대통령은 “갈등 해소와 신뢰 구축의 첫 출발은 함께 마주 앉아 대화하는 것”이라며 “경사노위도 함께 하자”고 당부했다고 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이 전했다. 경사노위는 1998년 외환위기 극복을 위해 발족한 경제·사회 정책 협의·자문 기구다. 민주노총은 초기부터 참여하지 않아 한국노총만 참여하는 상태로 운영됐으며, 한국노총도 지난해 12·3 비상계엄 이후 참여 중단을 선언해 사실상 와해 상태다. 강 대변인은 “이 대통령이 ‘대화...<br /><br />기사 원문 :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64407?cloc=dailymotion</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