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미국에 생산기지 확보하고 적극적 추진 <br />일본도 무역합의 조건으로 미국 조선업에 투자 <br />일본 조선업계, 미국 조선업 진출에 난색 <br />일 조선업계 "기술 혁신과 몸집 불리기가 우선"<br /><br /> <br />조선업을 재건하겠다는 미국의 계획에 대해 조선 강국 한국과 일본의 선택이 엇갈리고 있습니다. <br /> <br />한국은 미국 조선업 진출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는데, 일본은 그렇지 않습니다. <br /> <br />한국의 이런 행보가 장기적으로 일본에 도움이 될 수도 있다는 분석이 나옵니다. <br /> <br />권영희 기자가 보도합니다. <br /> <br />[기자] <br />미국은 거대한 조선업 재건 계획을 구상하면서 한국과 일본을 파트너로 삼을 계획입니다. <br /> <br />한국은 1,500억 달러 투자 약속과 함께 기업들의 선제적 움직임을 기반으로 미국 진출을 추진합니다. <br /> <br />지난해 12월 한화그룹의 필리 조선소 인수로 미국 내 생산 거점을 확보했습니다. <br /> <br />일본도 무역합의 조건으로 일단 미국 조선업에 투자하기로 했습니다. <br /> <br />[하이디 크레보-레디커 / 미국외교협회 선임연구원: 한국과는 조선업을 협상 테이블에 올려놓았고, 일본과는 다양한 잠재적 투자 기회를 모색했습니다.] <br /> <br />일본 정부 입장과는 달리 기업들은 난색을 표합니다. <br /> <br />일본 조선업은 1990년대 이후 한국과 중국의 혁신 노력에 밀려 경쟁력이 뒤처지면서 세계 시장 점유율이 13%까지 떨어진 상태입니다. <br /> <br />일본 조선업계는 지금 미국을 도울 상황이 아니라 기술 혁신과 몸집 불리기가 우선이라고 주장합니다. <br /> <br />게다가 미국의 높은 인건비는 가격 경쟁력을 유지하기 힘듭니다. <br /> <br />수십만 개 부품이 필요한 조선 분야에서 미국은 아직 공급망이 구축되지도 않았습니다. <br /> <br />[우종훈 / 서울대 조선해양공학과 교수: 미국의 상장 조선사들이 충분한 수익을 내지 못하고 있는 이유는 두 가지라고 봅니다. 하나는 인력 문제가 있을 거고 더 심각한 것은 공급망 생태계입니다.] <br /> <br />이런 상황에서 일본은 한국의 미국 조선업 진출을 내심 반기고 있습니다. <br /> <br />한국의 적극적인 행보로 일본 정부는 외교 부담을 어느 정도 줄일 수 있습니다. <br /> <br />또 한국이 쌓은 노하우와 공급망을 나중에 교본으로 삼을 수도 있을 것으로 기대합니다. <br /> <br />YTN 권영희입니다. <br /> <br /> <br />영상편집 : 한경희 <br /> <br /> <br /> <br /><br /><br />YTN 권영희 (kwonyh@ytn.co.kr)<br /><b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br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br />[전화] 02-398-8585 <br />[메일] social@ytn.co.kr<br /><br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4_202509060025519256<br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br /><br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br /><br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