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 무단 소액결제 사건'에 불법 초소형 기지국이 활용된 정황이 드러났습니다. <br /> <br />KT가 실제 사용하지 않는 유령 기지국을 통해 개인정보가 빠져나갔을 수 있다는 건데, 경기 광명시와 서울 금천구에서 시작된 피해 신고는 시간이 갈수록 다른 지역들로 퍼지고 있습니다. <br /> <br />취재기자 연결해 자세한 내용 알아보겠습니다, 우종훈 기자! <br /> <br />범행에 불법 초소형 기지국이 활용됐을 수 있다고요? <br /> <br />[기자] <br />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현장조사 과정에서 이번 사고 원인 중 하나가 불법 초소형 기지국의 통신망 접속 때문일 수 있다는 KT 측 설명을 확보했다고 밝혔습니다. <br /> <br />KT 등 이동통신사들은 통상 휴대전화와 이동통신망을 연결하는 기지국을 운영합니다. <br /> <br />그런데 유령 기지국, 그러니 KT에서는 사용하지 않는 미상의 기지국이 나타나 피해자들의 개인정보를 빼돌리고 소액결제 등 범행에 이용했을 가능성이 제기된 겁니다. <br /> <br />실제로 KT 현장조사 당시 과기부는 불법 기지국이 제삼의 다른 장소에서도 접속할 가능성이 있다고 봤습니다. <br /> <br />다만 KT 측은 운영 중인 기지국 가운데 해커가 사용한 불법 초소형 기지국은 없었다며 어제(9일) 오전 9시부터 신규 초소형 기지국의 통신망 접속을 전면 제한했다고 밝혔습니다. <br /> <br />정부는 해커가 불법 초소형 기지국을 활용해 정보를 탈취했는지, 또 어떤 방식으로 무단 소액결제가 이뤄졌는지 조사하고 있습니다. <br /> <br />또 다른 통신사에도 관련 내용을 공유하고 필요한 조치 할 방침이라고 설명했습니다. <br /> <br /> <br />경찰이 추정하는 피해 원인은 뭡니까? <br /> <br />[기자] <br />아직 경찰 수사에서 뚜렷한 해킹 경로가 확인된 건 아닙니다. <br /> <br />수사를 맡은 경기남부경찰청은 앞서 전례를 찾기 어려운 범죄라고 밝히기도 했는데요. <br /> <br />다만, 경찰은 범행 수법에서 보이는 공통점을 토대로 수사력을 집중하고 있습니다. <br /> <br />이번 사건 피해자들은 대부분 인접 지역에 살고 있고, 범행은 주로 새벽 시간에 벌어졌습니다. <br /> <br />또, 갑자기 카카오톡 메신저가 로그아웃됐다는 점도 비슷한데, 피해자들은 누군가 자신의 계정에 접속해 기존에 발급받은 인증서를 다시 인증하려 한 흔적이 발견됐다고 입을 모았습니다. <br /> <br />악성 링크에 접속하거나 앱을 설치한 적 없다는 피해자 진술도 공통점으로, 경찰은 피해자들의 휴대전화 포렌식 등을 통해 단서를 찾고 있습니다. <br /> <br /> <br />이용자들의 피해 신고는 ... (중략)<br /><br />YTN 우종훈 (hun91@ytn.co.kr)<br /><br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3_202509101054175207<br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br /><br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br /><br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