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조지아주 공장에서 미 이민 당국의 단속으로 구금됐던 한국인들이 엿새 만에 석방돼 귀국길에 오른다. 조현 외교부 장관은 10일(현지시간) 오전 현지에서 마코 루비오 미 국무장관 겸 국가안보보좌관 등과 만나 구금됐던 이들의 미국 재입국에 불이익을 최소화하도록 하는 마지막 행정절차 협의에 나선다. <br /> <br /> 10일 외교부에 따르면 조현 외교부 장관은 9일(현지시간) LG와 현대자동차 등 워싱턴 D.C. 주재 한국 기업 대표들과 간담회를 개최하고 이번 조지아주 단속과 관련한 비자 문제를 포함한 애로 사항과 건의사항을 들었다. 조 장관은 "구금된 국민들을 신속하고 안전하게 귀국시키고 향후 이들이 미국에 재입국할 때 불이익을 받지 않도록 하기 위한 모든 노력을 최우선으로 기울이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에 기업 측은 "한국인 전문인력 대상 별도 비자(E-4 비자) 쿼터 신설, 대미 투자 기업 고용인 비자(E-2 비자) 승인율 제고 등을 위해 노력해달라"고 했다. <br /> <br /> 정부는 2012년부터 'E-4' 비자(전문인력 대상 별도 비자 쿼터) 신설을 위한 '동반자법'(PWKA) 입법을 추진했고 550만 달러(약 76억원)를 들여 로비를 했지만 미 의회의 문턱을 넘지 못했다. E-2 비자는 미국과 무역 협정을 맺은 국가의 기업이 미국 내 자회사에 인력을 파견할 때 받을 수 있는 비자지만 최근 수요가 늘어 승인이 까다로워졌다는 지적이 나온다. <br /> <br /> 기업 측은 또 조 장관에게 "단기적으로 한국 기업 직원이 미 출장...<br /><br />기사 원문 :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65875?cloc=dailymotion</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