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 무단 소액 결제 사태로 인해 인해 5561명의 개인정보가 유출된 것으로 나타났다. 해킹 사실을 부인하고 늑장대응으로 사태를 악화시킨 KT는 “고객 피해를 100% 보상하겠다”고 밝혔다. <br /> <br /> <br /> ━<br /> 무슨 일이야<br /> <br /> 11일 KT는 기자간담회를 열고 “자체 조사 결과 불법 초소형 기지국을 통해 일부 고객 IMSI(가입자식별번호) 유출 정황을 확인해 개인정보보호위원회에 신고했다”고 밝혔다. IMSI는 유심(USIM·가입자 식별 모듈)에 저장되는 가입자 고유 번호로 개인정보에 해당한다. 김영섭 KT 대표는 “소액 결제 피해 사건으로 불안과 심려를 끼쳐 죄송하다”며 “회사와 임직원의 모든 역량을 투입해 추가 피해가 발생하지 않게 기술적 조치를 취했고, 피해 고객에는 100%의 보상책을 강구하고 조치하겠다”고 말했다. <br /> <br /> KT는 올해 KT망 내 통신 이력을 조회한 결과 불법 초소형 기지국 2개의 흔적을 발견했다. 이 불법 기지국들에서 발생한 신호를 수신한 고객은 약 1만9000명이다. 이 가운데 5561명 고객의 IMSI가 유출된 정황이 확인됐다. 5561명 모두 4세대 이동통신인 LTE 고객이다. 구재형 KT네트워크기술본부장은 “5G(세대)는 IMSI가 암호화되서 노출되지 않았는데 LTE는 노출됐다”고 말했다.<br /> <br /> <br /> <br /> ━<br /> 말 바꾼 KT<br /> <br /> KT가 불과 하루만에 입장을 바꾸면서 비판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KT는 지난 9일 “개인정보 해킹 정황이 없다”는 공식 입장을 밝혔다. 10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브리핑에서도 구재형 KT네트워크 기술본부장은 “유심 해킹과는 상관이 없다”고 말했다. KT는 최초 ...<br /><br />기사 원문 :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66249?cloc=dailymotion</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