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60년대 청년 포크 음악을 상징했던 '쎄시봉'이 전국 순회공연에 나섭니다. <br /> <br />원년 멤버 5명이 한 무대에 서는 건 무려 57년 만인데, '쎄시봉' 이름으로 하는 마지막 공연이기도 합니다. <br /> <br />박순표 기자의 보도입니다. <br /> <br />[기자] <br /> <br />[영화 쎄시봉의 한 장면 : 그대 영원할 줄 알았네. 그 여름 바닷가 행복했던 모래성] <br /> <br />무교동 음악감상실 쎄시봉을 무대로 청년 음악인의 이야기를 그렸습니다. <br /> <br />영화의 주인공 조영남, 송창식, 윤형주, 김세환이 60년 가까운 세월을 넘어 한자리에 모였습니다. <br /> <br />섬세하면서도 묵직한 목소리가 통기타와 어울려 멋진 화음을 만들어 냅니다. <br /> <br />각자 서로 다른 음악 인생을 걸어왔지만 포크 음악과 쎄시봉은 자신을 지켜준 든든한 버팀목이었습니다. <br /> <br />[윤형주/조영남: (윤형주) 팝송을 하나 둘 씩 배워가면서 더 자세히, 더 큰소리로 듣기 위해서 갔던 곳이 쎄시봉이거든요, 그러니까 우리들 의식 속에 있는 우리의 팝 세계의 말하자면 고향 같은 곳이 쎄시봉이다. (조영남) 서양 대중음악을 우리가 하면서 서양 문물을 (쎄시봉을 통해) 처음 받아들인 거예요.] <br /> <br />2010년 예능 프로그램 출연을 계기로 '쎄시봉' 열풍이 불었습니다. <br /> <br />그때도 개인 사정 때문에 1~2명이 전국 공연에 함께하지 못했고, 그래서 '쎄시봉'이라는 이름을 쓰지 않았습니다. <br /> <br />원년 멤버가 57년 만에 모여 '쎄시봉' 이름을 걸고 한 무대에 오르는 건 이번이 처음이자 마지막입니다. <br /> <br />[김세환/송창식: (김세환) 우리 나이 들어가니까 더 늦기 전에 / 무슨 이런 스폰서 없이 시민을 위한 음악회를, 쎄시봉 음악회를 했으면 어떻겠느냐 / (송창식) 사실 무슨 라스트 콘서트 이러는데 말은 그런데, 글쎄 현실적인 그런 느낌, 그런 데 대해서는 없어요. 늘 하는 거 하는 거죠.] <br /> <br />공연의 완성도를 위해 전설의 예능 프로그램 '토요일 토요일은 즐거워' 등을 기획한 김일태 작가가 연출을 맡았습니다. <br /> <br />쎄시봉에서 사회를 맡았던 이상벽도 마지막 전국 공연에서 마이크를 잡습니다. <br /> <br />YTN 박순표입니다. <br /> <br /> <br />촬영기자 : 이현오 <br /> <br /> <br /><br /><br />YTN 박순표 (spark@ytn.co.kr)<br /><b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br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br />[전화] 02-398-8585 <br />[메일] social@ytn.co.kr<br /><br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6_202509130312024309<br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br /><br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br /><br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