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통령이 19일 “평화는 민주주의와 경제 발전의 기본 토대”라며 “평화가 깨지면 민주주의를 유지·발전시키는 것도, 민생과 경제를 살리는 것도 위협받게 된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9·19 남북공동선언 7주년인 이날 페이스북에 “제가 취임 직후부터 대북방송 중단, 대북전단 살포 중단 등의 조치를 취한 까닭”이라며 이같이 적었다. <br /> <br /> 이 대통령은 이어 “북측의 체제를 존중하고, 흡수통일을 추구하지 않으며, 일체의 적대행위를 할 뜻이 없다는 제 약속은 여전히 유효하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한 번 깨진 신뢰가 금세 회복되지는 않을 것이다. 신뢰는 말에서 나오는 것이 아니라 행동과 실천에서 나오는 법이기 때문”이라며 “엉킨 실타래를 풀듯 인내심을 갖고 임하겠다”고 덧붙였다. <br /> <br /> 7년 전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함께 남북공동선언을 한 문재인 전 대통령은 19일 경기도 파주시 ‘캠프 그리브스’(옛 미군기지)에서 열린 7주년 기념식에서 “남북한 사이에 당장 전방위적인 대화 재개가 어렵다면, 먼저 9·19 남북군사합의의 복원부터 논의해 나가길 바란다”며 “김 위원장의 용기 있는 결단을 다시 한 번 보여주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br /> <br /> 문 전 대통령은 지난달 25일 한·미 정상회담에서 이 대통령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을 ‘피스 메이커’로 치켜세우고, 자신은 ‘페이스 메이커’를 자임한 데 대해 “연내 김 위원장을 만나고 싶다는 트럼프 대통령의 의사표시와 한국 정부의 적극적인 역할에 대한 공감대를 함께 끌어낸 탁월한 제안”이라고 평가하면서 “남·북·미 정상들의 평화를 위한 역사적 결단을 간절히 바라고 촉구한다”고 했다. <br /> <br /> ...<br /><br />기사 원문 :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68302?cloc=dailymotion</a>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