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동행카드 쓰시는 분들 많으시죠. <br /> <br />한 달 5∼6만 원으로 전국 대중교통을 20만 원까지 이용할 수 있는 월 정액권이 내년부터 도입됩니다. <br /> <br />쉽게 말해 전국 단위 기후동행카드로, 인천 등에서 서울로 출퇴근하는 직장인들도 대중교통 정액권 혜택을 받게 됐습니다. <br /> <br />차 유정 기자입니다. <br /> <br />[기자] <br />한 달 6만2천 원만 내면 서울 시내 대중교통을 무제한 이용할 수 있는 기후동행카드! <br /> <br />8월 기준 누적 충전 만3천 건을 돌파했고 사용자는 하루 평균 65만 명에 달합니다. <br /> <br />교통비를 일정 비율로 환급해주는 K-패스를 운영하는 국토부도 월 정액권을 내년 1월부터 추가 도입할 예정입니다. <br /> <br />청년·어르신 등은 월 5만5천 원, 일반 국민은 6만2천 원을 내면 전국 버스 지하철을 20만 원까지 이용할 수 있습니다. <br /> <br />다만 GTX와 광역버스가 포함될 경우 10만 원으로 올라갑니다. <br /> <br />방식은 K-패스가 다음 달 일정 부분 환급받듯 차액을 돌려받는 구조입니다. <br /> <br />수도권 시민 월평균 대중교통 이용금액이 10만 원가량인데 <br /> <br />지하철이나 버스만 탄다면 기존 K-패스는 2만 원을 받지만, 정액권으로는 3만8천 원을 돌려받을 수 있습니다. <br /> <br />GTX를 타는 직장인이 한 달 40회 이용한다고 가정하면 <br /> <br />환급액이 기존엔 3만2천 원에서 6만 원으로 늘어납니다. <br /> <br />기후동행카드는 서울 버스와 서울 지하철, 경기도 일부 시군 등 사용이 제한적인 반면, 정액패스는 전국 어디서나 이용 가능하다는 점이 장점입니다. <br /> <br />혜택이 넓어지는 만큼 긍정적인 반응이 많습니다. <br /> <br />[직장인 / 인천 부평구: 기후동행카드는 인천에서 사용할 수 없어서 (인천에서) 서울에 나올 때 사용을 못 하니까. K패스 사용이 폭이 넓어지면 사용하는 사람 입장에서는 선택할 수 있는 폭이 넓어지잖아요.] <br /> <br />다만 월 40회 이상 이용자에게만 혜택이 돌아가고 비수도권에서는 실효성이 낮다는 지적도 있습니다. <br /> <br />[대학생 / 서울 서대문구: 월 이용금액이 많지 않아서 새롭게 제도가 개편됐을 때 할인을 예전만큼 받을 수 있을지 모르겠어요.] <br /> <br />[김 상 철/ 공공교통네트워크 정책센터장: 공공인프라가 적은 비수도권 지역의 경우에는 6만2천 원이 현실에 맞지 않는 과다한 정액 기준이 아니냐 하는 것이고.] <br /> <br />국토교통부는 앱 개선 작업을 거쳐 내년 1월 시행을 차질없이 추진할 계획입니다. <br /> <br />YTN 차 유정입니다. <br /> <br /> <br /> <b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 (중략)<br /><br />YTN 차유정 (chayj@ytn.co.kr)<br /><br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2_202509210616287036<br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br /><br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br /><br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