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스스로 목숨을 끊은 사람이 만4천여 명으로 13년 만에 가장 많았습니다. <br /> <br />특히 40대에서도 처음으로 자살이 사망 원인 1위가 됐습니다. <br /> <br />코로나 이후 지속된 경제적 불황이 영향을 미친 것 아닌지 살펴볼 필요가 있습니다. <br /> <br />이승은 기자가 보도합니다. <br /> <br />[기자] <br />만4천872명, 지난해 스스로 목숨을 끊은 사람 수입니다. <br /> <br />한 해 전보다 6.4% 늘면서 2011년 이후 13년 만에 가장 많았습니다. <br /> <br />인구 10만 명당 자살자 수인 자살률은 29.1명으로 역대 4번째로 높았습니다. <br /> <br />2011년 정점을 찍고 감소하던 자살률은 2018년과 2019년 유명인의 자살이 잇따르며 오르내리기를 반복하다 최근 2년 사이 크게 늘었습니다. <br /> <br />성별로 보면 남자가 만605명, 여자가 4천267명으로 남성이 여성보다 2.5배 많았습니다. <br /> <br />연령대로 보면 자살은 10대부터 40대까지 모두 사망 원인 1위입니다. <br /> <br />20대 사망 원인의 54%가 자살이었습니다. <br /> <br />특히 40대에서 처음 자살이 암을 제치고 사망 원인 1위가 됐습니다. <br /> <br />40대는 핵심 경제활동 계층으로, 경기 불황도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보입니다. <br /> <br />[박현정 / 통계청 인구동향과장 : 40대 같은 경우는 아무래도 경제적인 상황이나 그런 정신적 상황 그리고 신체적인 상황들에 대한 그런 부분이 저희 내부적으로 시스템을 통해서 조금 분석은 됐습니다.] <br /> <br />경제협력개발기구, OECD 국가간 비교 기준인 연령표준화 자살률은 우리나라가 26.2명으로, 여전히 압도적 1위입니다. <br /> <br />OECD 평균은 10.8명입니다. <br /> <br />지난해 사망 원인 1위는 암으로, 네 명 중 한 명꼴인 24.8%를 차지했습니다. <br /> <br />인구 고령화로 80세 이상 사망자가 54.1%를 차지했습니다. <br /> <br />YTN 이승은입니다. <br /> <br /> <br />영상기자 정철우 <br /> <br />영상편집 정치윤 <br /> <br />디자인 정은옥 <br /> <br /> <br />※ 우울감 등 말하기 어려운 고민이 있거나 주변에 이런 어려움을 겪는 가족·지인이 있을 경우 자살예방 상담전화 ☎109 또는 자살예방SNS상담 '마들랜'에서 24시간 전문가의 상담을 받을 수 있습니다. <br /> <br /><br /><br />YTN 이승은 (selee@ytn.co.kr)<br /><b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br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br />[전화] 02-398-8585 <br />[메일] social@ytn.co.kr<br /><br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2_202509251803281068<br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br /><br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br /><br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