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진행 : 나경철 앵커 <br />■ 출연 : 공하성 우석대 소방방재학과 교수 <br /> <br />*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인용 시 [YTN 뉴스와이드] 명시해주시기 바랍니다. <br /> <br /> <br />이번에는 공하성 우석대 소방방재학과 교수 연결해서 자세한 내용 알아보겠습니다. 교수님, 연결되어 있으시죠? <br /> <br />[공하성] <br />공하성입니다. <br /> <br /> <br />안녕하십니까? 일단 이번 화재, 오전 6시 반에 초진이 됐다라는 속보를 전할 때만 해도 한숨 돌릴 수 있을 것 같다라는 생각이 들기는 했는데 오히려 정부는 위기경보 수준을 경계에서 심각으로 상향을 했습니다. 이 이유가 어디에 있다고 보십니까? <br /> <br />[공하성] <br />일단 재난 위기경보가 네 단계로 구분이 되는데요. 관심, 주의, 경계, 심각. 최고 단계로 격상을 시킨 것이죠. 그만큼 이번 조치는 단순한 기술적 장애를 넘어서 국가 전산 업무의 근간이 흔들릴 수 있는 아주 중대한 위기상황이다, 이렇게 판단한 것으로 보입니다. 그리고 국민생활과 직결되는 행정 서비스가 사실상 멈출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심각한 단계로 격상을 시킨 것으로 보입니다. <br /> <br /> <br />이런 종류의 화재에서 지금 초진까지 걸린 시간이 10시간 정도 걸렸단 말이죠. 이 10시간이라는 시간이 통상적으로 긴 시간인가요, 짧은 시간인가요? 어떻게 판단하십니까? <br /> <br />[공하성] <br />일반적인 화재 진압을 볼 때는 매우 긴 시간으로 판단이 되는데요. 그런데 배터리 화재는 좀 다릅니다. 배터리는 열폭주 현상으로 인해서 한 번 불이 붙으면 쉽게 꺼지지 않는 그런 특성을 가지고 있고요. 현재 상황으로는 전 세계적으로 배터리 화재 불을 끌 수 있는 전용 소화기가 제대로 개발되어 있지 않은 상황입니다. 그래서 충분한 물을 뿌려서 물에 담그는 그런 상황밖에 없기 때문에 이것은 배터리 화재로 본다면 일반적인 진화 시간이라고 볼 수가 있겠습니다. <br /> <br /> <br />이번 소방의 설명을 들어보니까 배터리 교체 작업 중에 불꽃이 튀었다. 그러니까 폭발이 발생한 것으로 보이는데 어떤 상황이었던 것으로 예측을 하시나요? <br /> <br />[공하성] <br />일단 리튬이온배터리 자체가 충격에 상당히 약합니다. 옮기는 과정에서 충격이 발생하지 않았을까 이런 판단이 듭니다. 충격이 발생하면 플러스, 마이너스 분리막 손상이 되면서 배터리가 열이 갑자기 올라갑니다. 그러면서 폭발로 ... (중략)<br /><br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3_202509271050104512<br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br /><br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br /><br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