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정보자원관리원(이하 국정자원) 화재를 놓고 여야가 28일 정면충돌했다. 조희대 대법원장을 겨냥한 더불어민주당의 긴급 현안 청문회 추진에 국민의힘 측이 필리버스터(무제한 토론)와 장외 집회로 맞불 놓은 묘한 시점에 국가적 재난 사태가 터지자 여야 모두 정치적 파장에 촉각을 세우고 있다. <br /> <br /> 이날 대전 유성구의 국정자원 화재 현장을 찾은 여야 국회 행정안전위원의 반응부터가 극과 극이었다. 민주당은 이번 화재를 윤석열 정부 탓으로 돌렸다. 위성곤 의원은 이날 현장 방문 뒤 브리핑에서 “2022년 (SK C&C 판교 데이터센터 화재로 인한) 카카오 먹통 사태 당시 이중화 조치 등을 민간 의무화했는데, 윤 정부가 공공기관은 제외했다”며 “그게 결국 오늘의 결과를 빚었다”고 주장했다. 윤건영 의원도 “민간 기업에는 이중화 사업을 강제한 이전 정부가 정부 부처에 대한 이중화 사업은 손을 놓고 있었다”고 했다. <br /> <br /> 반면에 국민의힘 행안위원들은 “이번 사태는 총체적 무능이 빚은 인재이자 대형 참사”라고 이재명 정부을 겨냥했다. 행안위 야당 간사인 서범수 의원은 “국정 최고 책임자인 이 대통령이 사과하고 윤호중 행정안전부 장관을 비롯한 관계자 문책을 강력히 요청한다”며 “국민 불편을 나 몰라라 하는 정부에 대해 국회 현안 질의에서 하나하나 따질 것”이라고 말했다. 박덕흠 의원은 “안전 대책 없이 배터리를 분리 이동해 점화된 건 이재명 정부의 실책”이라며 “책임자가 형사처벌이든 뭐든 져야 한다”고 했다. <br /> <br /> ...<br /><br />기사 원문 :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70568?cloc=dailymotion</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