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p><br /><br />[앵커]<br>이재명 대통령이 경제적, 정치적으로 민감한 이슈를 던졌습니다. <br> <br>바로 금산분리입니다.<br><br>지난 43년 간 금 금융과, 산, 산업, 그 중 대기업을 분리하는 규제가 이어져 왔습니다. <br><br>재벌이 부당 승계, 사금고로 활용할 수 있다는 우려로, 특히 민주당이 강령으로 못박은 정체성과 같은데요. <br><br>대통령이 이걸 완화하는 안을 찾으라 지시한 겁니다. <br> <br>강령과 배치되는 듯한 대통령 지시에 민주당의 반응은 어땠을까요?<br><br>이준성 기자입니다.<br><br>[기자]<br>이재명 대통령, 어제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최태원 SK회장을 만나고 난뒤 금산분리 완화 검토를 지시했습니다. <br> <br>AI 투자에 자금 조달이 용이하도록 규제를 풀어주자는 취지입니다. <br><br>하지만 금산분리는 민주당의 정체성으로 자리매김해 왔습니다. <br><br>2012년부턴 당 강령에 원칙으로 들어가 있습니다. <br><br>자기 계열사에만 돈을 몰아주는 재벌의 '사금고화'를 우려해 왔습니다.<br> <br>[문재인 / 당시 더불어민주당 상임고문 (2017년 1월) ] <br>"금융이 재벌의 금고가 되어서는 안 됩니다. <금산분리로 재벌과 금융을 분리>시키겠습니다." <br> <br>[당시 더불어민주당 대표 후보(2022년 8월)] <br>"<금산분리>도 저는 지금 상태에서는 <반드시 해야 될 일>이다." <br> <br>민주당 강령과 위배되는 듯한 대통령의 지시에, 당과 대통령실 모두 말을 아꼈습니다. <br><br>당은 강령을 고치지 않고 대통령 주문에 호응할 방안을 찾는 분위기입니다. <br><br>[박수현 / 더불어민주당 수석대변인] <br>"민주당에 있는 강령이라더라도 현재 상황 따라 유연하게 대처할 건 대처하고…." <br> <br>정책위 핵심 관계자는 "금산분리 원칙 훼손을 지시한 건 아니지 않나"라고 말했습니다. <br> <br>대통령실도 AI 투자 분야에 한해 예외라는 점을 강조했습니다. <br><br>[강유정 / 대통령실 대변인] <br>"금산분리 예외 조항에 대해서는 독점의 폐해가 없는 매우 특수한 영역에 한정해 우리 사회의 논의가 필요하다." <br> <br>하지만 지지층 반발 가능성도 있는 만큼, 당정은 신중하게 접근할 계획입니다. <br><br>채널A 뉴스 이준성입니다. <br> <br>영상취재 : 김재평 <br>영상편집 : 이혜리<br /><br /><br />이준성 기자 jsl@ichannel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