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7 대책 발표 후 한 달 가까이 지났지만 서울 아파트값이 4주 연속 상승폭을 키우고 있습니다. <br /> <br />특히 마포와 성동, 광진구와 같은 '한강벨트'의 집값이 달아오르면서 상승세 확산 조짐까지 보이고 있는데요. <br /> <br />이런 가운데 여당은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을 개선 또는 폐지하는 방안을 검토 중입니다. <br /> <br />최두희 기자가 현장을 다녀왔습니다. <br /> <br />[기자] <br />재건축을 추진 중인 서울 마포구의 대단지 아파트. <br /> <br />지난달 전용면적 141㎡가 20억2천만 원에 거래되며 신고가를 기록했습니다. <br /> <br />현장에서는 시장에 나오는 매물을 찾기 힘들다고 입을 모읍니다. <br /> <br />[서울 마포구 공인중개사 : 매물이 없어요. 팔 사람은 진작에 다 팔았고 여기도 올랐지만 다른 데는 더 많이 올라서 갈 수도 없는 거예요.] <br /> <br />서울 아파트값은 0.27% 오르며 4주 연속 상승폭을 키웠는데 이같은 상승세가 서울 전역으로 확산할 조짐을 보이고 있습니다. <br /> <br />특히 성동, 마포, 광진과 같은 한강벨트의 상승폭 확대가 두드러졌고 송파, 용산을 비롯해 서울 25개 자치구 모두 오르며 9·7 대책 후 오히려 아파트값이 안정되지 않는 흐름을 보였습니다. <br /> <br />이에 대해 한국부동산원은 서울 재건축 추진 단지 등을 중심으로 매수문의가 증가하며 전반적으로 아파트값이 상승했다고 평가했습니다. <br /> <br />무엇보다 9·7 대책의 실효성이 떨어지는 데다 토지거래허가구역 확대 가능성이 언급되며 규제 강화 전 '똘똘한 한 채'를 마련하려는 움직임이 이어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br /> <br />[박원갑 / KB국민은행 부동산수석전문위원 : 공공주택 중심의 9·7 공급대책에 대해 체감을 그다지 하지 못하는 수요자들이 있는 것 같고요. 규제지역 지정 이전에 집을 사려는 막판 수요도 몰리면서….] <br /> <br />서울과 인접한 경기도에서는 성남시 분당구가 0.97% 급등하며 전국에서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하는 등 확산세는 수도권으로도 번지는 분위기입니다. <br /> <br />이런 가운데 최근 여당은 신뢰도에 대한 지적이 끊이지 않는다며 토론회를 열고 주간 단위로 발표하는 아파트 가격동향 통계를 개선 또는 폐지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나섰습니다. <br /> <br />YTN 최두희입니다. <br /> <br /> <br />영상기자 : 김현미 <br /> <br />디자인;임샛별 <br /> <br /> <br /><br /><br />YTN 최두희 (dh0226@ytn.co.kr)<br /><b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br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br />[전화] 02-398-8585 <br />[메일] social@ytn.co.kr<br /><br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2_202510022030030526<br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br /><br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br /><br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