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TN은 오늘부터 일주일 동안 올봄과 여름에 나타난 기상이변을 바탕으로, 기후위기의 심각성을 살피는 연속 보도를 합니다. <br /> <br />먼저 지난봄 역대 최악으로 기록된 경북 지역 산불을 분석해봅니다. <br /> <br />산불이 나기 전, 기후위기로 인한 산불 위험도가 최대치로 치솟는 등 경고음은 이미 울리고 있었습니다. <br /> <br />고한석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br /> <br />[기자] <br />지난 3월 22일 경북 의성군 괴산리 야산에서 산불이 시작됐습니다. <br /> <br />당시 기온은 평년보다 10도 이상 높았고, 겨울 가뭄으로 땅은 바짝 말라 있었습니다. <br /> <br />기후 변화가 극한 기상 현상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국제 연구 기관 (WWA, World Weather Attribution) 보고서입니다. <br /> <br />탄소 배출 증가로 인한 온난화의 영향으로, 당시 산불을 유발하는 기상 조건, 즉 '고온, 건조, 강풍'의 발생 가능성이 2배로 올랐고, 강도는 15% 더 강했던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br /> <br />미국 기후 연구기관이 측정한 기후위기 영향 평가 지수도 경고음을 울리고 있었습니다. <br /> <br />[앤드류 퍼싱 / 클라이밋 센터 디렉터 : 기후변화 지수(The Climate shift index)는 특정 날씨에 지구 온난화가 얼마나 많은 영향을 미쳤는지 이해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무료 도구입니다. <br /> <br />-5에서 5까지 범위에서 기후위기와 특정 지역 기상의 연관성을 측정하는 지표인데, 의성 산불 직전인 3월 21일 우리나라 남부가 최대치인 5를 기록한 겁니다. <br /> <br />경북 지역이 기후위기의 직격탄으로 맞고 있었던 셈입니다. <br /> <br />의성 산불 발생 직전, 산불 위험 지수가 과거 40년 평균의 4배였다는 분석도 있습니다. <br /> <br />전문가들은 산불 대응 체계를 기후위기 시대에 맞게 재정비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합니다. <br /> <br />[정수종 /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교수 : 산불이 강하게 날 수 있는 지역에 대한 모니터링이 강화돼야 합니다. 실제로 어떤 계절에 어떤 지역에서 산불이 날 확률이 커진다는 건, 얼마든지 과학적으로 예측할 수 있거든요. 그런 것들을 조금 더 제도화시켜야 하는 거죠.] <br /> <br />또, 산림청과 소방청이 연계한 산불 위기 대응 체계를 더 정교화하고, 문자 발송과 앱 알림 등을 연계한 다중 경보 시스템의 속도도 높여야 한다는 지적입니다. <br /> <br />YTN 고한석입니다 <br /> <br /> <br />영상기자 : 이수연 <br />디자인 : 우희석 <br /> <br /> <br /> <br /><br /><br />YTN 고한석 (hsgo@ytn.co.kr)<br /><b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br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br />[전화] 02-398-8585 <br />[메일] social@ytn.co.kr<br /><br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15_202510030906004151<br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br /><br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br /><br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