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p><br /><br />[앵커]<br>뉴스에이 시작합니다.<br> <br>김윤수입니다. <br> <br>추석을 하루 앞둔 오늘, 여야 정치권은 명절 분위기가 무색하게 또 치고 받았습니다. <br><br>이진숙 전 방통위원장 석방을 두곤 "정치 보복이다. 아니다" 서로 얼굴을 붉혔고, 대통령 부부의 예능 출연 논란은 맞고발 사태로까지 번졌습니다. <br> <br>특히 야당은 이 전 위원장 석방 이슈에 불을 붙이고 있습니다.<br><br>"체포 지휘자에게 책임을 묻겠다"고 하자, 여당은 이 전 위원장을 풀어준 법원을 겨냥해 "사법 개혁"을 외쳤습니다. <br><br>오늘의 첫소식, 정연주 기자가 보도합니다.<br><br>[기자]<br>[이진숙 / 전 방송통신위원장 (어제)] <br>"이재명 주권국가, 대통령 주권국가에서는 대통령의 뜻에, 대통령 비위를 거스르면 당신들도 법정에, 구치소에 또 유치장에 갈 수 있다." <br> <br>경찰이 체포한 이진숙 전 방송통신위원장에 대해 법원이 석방 결정을 내리자 야권은 일제히 경찰에 책임을 묻겠다고 공세했습니다. <br> <br>[최보윤 / 국민의힘 수석대변인] <br>"경찰은 혐의 입증 뿐만 아니라 체포 과정의 적법성과 정당성까지 국민 앞에 소명해야 할 것입니다. 정치적 목적의 체포를 지휘한 자 반드시 책임을 져야할 것입니다. <br> <br>개혁신당 이준석 대표 또한 김현지 부속실장 사태에 놀란 윗선에서 '충격 완화용 아이템'을 강요했는지 반드시 따져 묻겠다고밝혔습니다.<br> <br>국민의힘은 또, "경찰이 독점 수사권을 감당할 능력이 있는지 의문"이라며 민주당이 추진하고 있는 사법개혁도 함께 비판했습니다.<br> <br>반대로 민주당은 법원을 직격했습니다. <br> <br>"요리조리 피해 다니는 피의자를 응원하는 게 법원이냐"며 "이러고도 사법권 독립을 운운할 자격이 있냐"는 겁니다.<br><br>"이러니 국민들이 사법개혁을 부르짖는 것"이란 말도 했습니다. <br><br>[박지혜 / 더불어민주당 대변인] <br>"기각됐다고 해서 이진숙 전 위원장의 죄가 사라지는 것이 아닙니다. 앞으로 철저하게 수사에 협조하시기를 바랍니다." <br> <br>또 법원이 이 전 위원장의 출석 회피 등을 인정했다며 야권을 향해 입맛대로 해석하지 말라고 맞받아쳤습니다. <br><br>채널A뉴스 정연주입니다. <br> <br>영상취재 이 철 <br>영상편집 이승근<br /><br /><br />정연주 기자 jyj@ichannela.com